데일리벳에서 2018년을 맞아 세계 각 국의 반려동물 시장 트렌드를 소개하는 ’2018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 특집을 준비했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최신 자료들을 바탕으로 각 나라별 반려동물 시장 현황을 소개합니다. 두 번째 국가는 2020년까지 33조원 규모의 반려동물 시장 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중국입니다.
2020년 시장규모 2000억 위안(약 32조 9천억원) 예상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임금 수준이 향상되면서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시장도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이 발표한 ‘2017년 중국 애완동물 연구보고서’ 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반려동물산업 시장규모는 1220억 위안(약 20조원)이었으며, 2017년은 1500억 위안(약 24조 7천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예측됐다.
중상산업연구원은 “향후 3~5년 동안 연평균 20~30%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에는 2000억 위안을 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을 전망했다.
식품(사료간식) 34%, 의료 23%, 용품 16%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료와 간식 등 반려동물 식품산업이 가장 큰 시장규모를 자랑했다.
2016년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의 총 매출액은 457억 위안(약 7조 5천억원)으로 전체 산업의 34%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역시 반려동물 식품시장이 34%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예측됐다.
2016년 기준 용품 시장 매출액은 196억 위안(약 3조 2300억원)으로 전체 시장의 16%를 차지했으며, 반려동물 서비스 산업이 1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반려동물 서비스의 경우 훈련, 영상촬영, 보험, 반려동물 위탁배송, 장례 등 시장이 세분화되고 있으며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었다.
성장하는 반려동물 의료시장…2020년까지 830억 위안 규모로 성장 예상
2016년 중국의 반려동물 의료산업은 약 227억 위안(약 3조 8천억원) 규모로 중국 전체 반려동물 시장의 23%를 차지했다.
KOTRA 측은 “중국인들이 반려동물에 소비하는 비용이 증가하면서 2020년까지 의료시장 규모가 약 830억 위안(약 13조 7천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반려동물 약품 시장 또한 성장하여 2016년 기준 147억 위안(약 2조 4천억원)규로를 형성했다. 2017년도 성장률은 5.3%였다.
KOTRA 광저우 무역관 측은 “중국의 반려동물 의료산업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广州) 등 1선 도시를 중심으로 발달돼 있으며, 1선도시는 포화상태”라며 “일정규모 이상의 동물병원 수가 적은 발전 잠재력이 큰 2, 3선 도시에 진출하는 것은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고 분석했다.
늘어나는 반려동물 식품 수입 규모
중국 매체 Sina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반려동물 양육인들은 반려동물을 위해 월 평균 100~200위안 정도 소비할 의향이 있었으며, 30대의 경우 지불 의향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욱 높은 양상을 보였다.
중국 내 반려동물 양육자의 평균 연령대는 확대됐으나 반려동물 양육을 공부해 양육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비력을 갖춘 연령대는 25~40세 사이로 평가된다.
KOTRA 중국 선양무역관 측은 “해당 연령대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며 성분 별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는 까다로운 소비자”라며 “이들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한 인터넷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2016년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 수입액은 2억9226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3% 성장했다.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 수입 규모는 2011년 246만2000달러 규모에서 2014년 433만7000달러 규모로 고속 성장을 보였으나, 2015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2016년 이후 다시 411만5000달러 규모로 돌아와 회복세에 접어든 양상이다.
수출을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
KOTRA 중국 선양무역관은 “중국 법률은 반려동물 식품 수출 시 사료와 그 첨가제에 대한 농업부 주관 검사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은 100만 위안과 2년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성분 식품 수입에 있어 큰 비용과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새로운 성분이 포함된 반려동물 식품을 수출하려 할 경우 현지 애완동물 식품 등기 대리기업과 충분한 사전 상의를 거친 후 진출을 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이학범 기자 dvmlee@dailyv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