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방역권역, 시도 간 경계 벗어난 5대 대권역으로 재구성

검역본부, ICT 기반 역학데이터 분석..이동제한 시 권역내 사료·출하·분뇨 처리 역량 반영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구제역 방역권역 대권역(오른쪽)과 소권역(왼쪽)
(자료 : 농림축산검역본부)


시도 간 행정구역 경계에 묶여 있던 방역 권역이 ICT 역학데이터 기반으로 재구성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ICT 기반 역학데이터를 활용해 구제역 방역권역을 5대 대권역과 10개 소권역으로 구분했다고 29일 밝혔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발생농장 주변과 역학 관련 농장의 이동제한 뿐만 아니라 권역 단위의 방역조치가 이어진다.

발생농장이 포함된 시군이나 시도 안팎으로의 출하나 가축분뇨 이동이 제한되는 조치가 대표적이다. 축산차량의 이동이 구제역 수평전파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러한 권역단위 이동제한 조치가 행정구역 경계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천-철원, 안성-천안 등 광역지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축산기반을 공유하는 인접 시군에서는 큰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검역본부는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에서 추출한 축산시설과 축산차량 6만여대의 GPS 이동정보, 축산시설 자립도 평가를 통해 구제역 방역권역을 재설정했다.

특정 권역 내의 도축장, 사료공장, 종축장, 분뇨처리장 운영 역량을 평가하여 구제역 발생상황에서도 농장이 권역 내에서만 제대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가늠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국은 경기북부·강원권, 경기남부·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권 등 5대 대권역으로 분류됐다. 경기북부에 강원도 철원이 포함되고, 경기남부에 충남 당진·아산·천안이 포함되는 식이다.

대권역은 다시 2~3개로 세분화하여 10개 소권역으로 나뉜다.

검역본부는 재조정된 방역권역을 기반으로 발생초기 일시이동중지명령(스탠드스틸), 긴급 백신접종, 역학조사 우선순위 등 한정된 방역자원을 위험권역에 우선 집중할 방침이다.

이은섭 검본 역학조사과장은 “ICT 기반 역학 데이터를 이용해 구제역 방역권역을 지속적으로 현행화할 계획”이라며 “ASF, 고병원성 AI 등 다른 국가재난형 동물질병에도 방역권역을 설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구제역 방역권역, 시도 간 경계 벗어난 5대 대권역으로 재구성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