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백신, 엇갈린 찬반 여전..`도입 전제조건, 실행은 어려워` 지적도

백신 도입 하기엔..AI 발생 숨기는 중국, 백신접종 시 의심증상 숨길 농가 등 우려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국회의원과 대한양계협회가 6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AI 방역 개선대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주요 쟁점은 AI 백신도입 문제에 쏠렸다. 강경수 수제가축병원장은 “AI 백신도입 문제는 찬반 양측 사이에서 중용을 찾는 성격의 사안이 아니”라며 과학적 접근을 강조했지만, 이날 토론회에서도 찬반 입장차는 여전했다.

170706 hpai1

백신 도입하려면 백신주 선정·모니터링 중요한데..현실적인 어려움 지적 나와

AI 전문가인 레스 심스 박사는 홍콩의 백신도입 사례를 소개하면서 “중국으로부터 AI 유입될 위험이 크고 밀집사육문제도 있는 홍콩은 한국과도 유사하다”고 말했다.

차단방역을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농장의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없어 백신을 도입했고, 덕분에 농장 발생과 인체감염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심스 박사가 백신도입의 조건으로 전제한 백신 후 모니터링이나 백신주 선정에 대해서는 찬반 양측의 시각차가 그대로 드러났다.

백신은 백신주가 야외주와 적합할수록 높은 방어력을 보인다. 문제는 어떤 바이러스가 들어올지 제대로 예상하여 백신주를 미리 선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손한모 검역본부 AI예방통제센터장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항원뱅크 조성을 위해 개발실험을 마친 백신주도 이미 국내에 발생한 H5N1, H5N6, H5N8형 AI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심스 박사 등은 철새를 통해 국내 유입될 가능성이 큰 중국 유행 바이러스를 고려해 백신주 항원을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재홍 서울대 교수는 “H5N6형을 비롯한 국내 발생 AI가 중국에서 먼저 발생했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국내 발생전에 중국당국이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경우가 드물어 미리 대비하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백신 후 모니터링이 쉽지 않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백신을 해도 AI 감염을 100% 방어할 수는 없으므로 농장 감염사례를 잡아내야

찬성 측은 ‘무증상 감염을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없이 백신접종군 중에서 AI 감염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잡아내면 된다’는 주장이다. 반대 측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할 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숨기려고 하는 농가를 잡아내기 쉽지 않다’는 반론이다.

가금수의사인 송치용 원장은 백신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가령 백신을 접종했지만 일부 계군에서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계란값이나 신고 시 손해 등을 이유로 농가가 신고를 기피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로 이뤄진 방역관의 농장 내부 예찰 등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11
월까지 백신도입 방안 확정할 것”

김용상 농식품부 방역관리과장은 “AI 백신도입은 축산업 발전과 국민보건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정부의 입장을 확정하기 전에 충분히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검역본부를 중심으로 산학연이 참여한 AI백신대응 TF는 다음주중으로 백신도입 초안에 대한 결과보고서를 농식품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후 농식품부가 9~10월까지 관계부처와 이해당사자 간 의견수렴을 진행하여 11월까지 최종 입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재홍 교수는 “백신 접종으로 기대할 수 있는 장점도 많다”면서도 “현실적으로는 백신을 사용하면 AI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근절되기 어렵고, 이러한 상황을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AI 백신, 엇갈린 찬반 여전..`도입 전제조건, 실행은 어려워` 지적도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