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수의사 AI 간이키트 사용, 문제 없나

음성이면 딜레마 빠져..신고 책임 전가 우려 `당국 신고 전제하고 써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최근 정부가 일선 수의사들의 인플루엔자 간이키트 사용을 허가한 가운데, 활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간이키트 결과가 AI 여부를 담보해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일선 수의사들이 화살을 맞는 빌미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70810 bansuk2


간이키트 쓰면..신고 하기도 안 하기도 애매해진다?

10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열린 AI 방역업무 가금전문 수의사 양성 2차 소집교육에서는 이 같은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날 교육에 참여한 한 지자체 방역관계자는 “농가는 수의사에게 AI 의심사실을 알릴 경우 따로 방역당국에 신고할 의무가 없다”면서 수의사가 곤란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행 간이키트는 인플루엔자 여부가 판가름하기 때문에 저병원성 AI와 고병원성 AI를 구분할 수 없다.

검사키트 자체의 민감도, 샘플링, 검체의 항원량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AI 바이러스가 있는 농장에서 ‘음성’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손영호 반석엘티씨 대표는 “(간이키트검사가) 수의사 책임문제만 일으킬까 우려된다”며 “오히려 키트검사가 ‘음성’이면 더 골치 아플 것”이라고 꼬집었다.

AI가 의심되는 농장에서 간이키트검사가 음성이면 신고를 하기도, 안하기도 애매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신고를 하자니 농가는 ‘왜 음성인데 의심신고를 하느냐’며 불만을 가질 수 있고, 신고를 안 하자니 AI가 아니라는 확신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의심축을 현장에서 부검해볼 수도 있지만, AI 전파 초기의 폐사체 부검소견 만으로 AI를 감별해내기 어렵다는 한계점도 있다.

간이키트 문제를 제기한 지자체 방역관계자도 “정밀검사도 샘플링이나 검사시기에 따라 결과가 엇갈릴 수 있는 마당에, 키트는 어디까지나 보조자료”라고 선을 그었다.


키트검사도 결국 AI 의심한 것..`당국 신고 전제로 책임소재 분명히`

때문에 농가가 일선 수의사에게 간이키트검사를 요청할 경우에 대한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키트검사 결과의 한계를 분명히 전제하고, 농가도 이를 받아들인 후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교육 참가자는 “키트검사 해보자고 수의사를 부른 것 자체가 농가가 AI를 의심한 셈”이라며 “방역당국으로의 신고를 전제로 해야 하며 ‘어느 농가에서 AI가 의심돼 키트검사를 했다’는 사실을 당국이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선 수의사 AI 간이키트 사용, 문제 없나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