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교육을 원한다①] 양돈 임상:최종영 도담동물병원장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한국수의과대학협회 교육위원회가 2월 12일 회의에서 ‘한국의 수의사상’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터뷰 시리즈 제목을 변경합니다. 편집자주)

한국 수의학교육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무엇을 가르치는가’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 수의사로 만들어내느냐’로 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고 있습니다.

한국수의과대학협회에서는 최근 수의학교육의 졸업역량(핵심역량)을 정의하기 위한 작업을 본격화했습니다. 졸업까지 어떠한 역량들을 갖춘 수의사가 될지 규정한 후 그러한 역량을 실제로 갖출 수 있도록 대학교육을 바꿔나간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졸업역량’을 규정하는 일은 수의학교육 개선의 시작점이 됩니다.

수의사는 임상뿐만 아니라 방역, 축산물위생,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임상만해도 반려동물, 산업동물, 야생동물 등 축종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입니다. 각 분야마다 요구되는 역량도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한 차이들 또한 졸업역량에 반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데일리벳에서 각 분야에서 활동하는 수의사들을 만나, 현장에서 바라보는 수의학교육 개선점에 대해 들어보는 [이런 교육을 원한다] 인터뷰 시리즈를 진행합니다.

 

제1편은 양돈 임상 분야입니다. 특정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동물용의약품도매상과 병행하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양돈 임상수의사로 활동하고 있는 최종영 도담동물병원장을 데일리벳이 만났습니다.

151211 cjy2
도담동물병원 최종영 원장

Q. 수의학교육의 핵심역량을 설정해 이를 기준으로 교육을 어떻게 개선할 지, 일선 현장에서 활동하는 임상수의사의 의견을 듣고자 인터뷰를 마련했다. 하지만 애초에 현재 수의과대학이 양돈임상을 별달리 가르치질 않으니 어떻게 개선해야 할 지 묻기조차 어려운 것 같다.

반려동물의 예를 들면, 국내 수의대 동물병원에서 실제로 동물을 진료하고 있다. 일선 동물병원과의 협력체계도 비교적 자리 잡은 편이다. 실제로 임상에 종사하는 교수님들이 임상을 가르친다. 학생들도 대학 동물병원 진료에 참여하며 현장을 실습할 수 있다.

반면 국내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서 ‘양돈 임상’을 하지 않는다. 양돈 분야에서 활동하시는 교수님들도 대부분 미생물이나 병리학자다. 실제 현장에서 임상활동을 해본 분들이 없다.

그러다 보니 돼지는 여러 과목에서 조금씩 곁다리로만 배운다. 비교해부학에서 조금, 미생물학에서 조금, 전염병학에서 조금씩 다루는 식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양돈 임상’이란 무엇인지 학생들이 제대로 알 수 있을 리 없다.

쉽게 말해 ‘양돈수의학’이라는 과목이 필요하다. 선배들도 나도 후배들도 ‘양돈수의학’이라는 과목을 체계적으로 배우지 못했다. 양돈수의학이라는 학문이 체계적으로 잡히는 것이 우선이다.

 

Q. 그렇다면 원장님께선 어떻게 양돈임상수의사가 되셨는지 궁금하다

졸업 후 강원대 한정희 교수님을 지도교수로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양돈 분야에 발을 디뎠다.

1998년 도드람양돈조합에 입사해서 8년 정도 근무했다. 이 기간 동안 양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업무를 담당했다. 사료도 팔고 검사도 하고 농장의 전산관리도 했다. 그러면서 양돈산업에 대한 기초를 쌓았다.

그러다가 ‘다른 일들은 접고 수의사가 해야 하는 임상에만 집중하겠다’고 결심하고 2005년 퇴사해 도담동물병원을 개원했다. 대학 졸업부터 따지면 개원까지 10년이 걸린 것이다.

그 후 10여년동안 동물병원을 운영하니 이제 좀 할만한 것 같다. 양돈수의사 19년차가 되니 안목이 생겼다.

하지만 후배 양돈수의사들은 나와 같은 시행착오를 덜 겪었으면 좋겠다. 학교에서 양돈임상이란 무엇인지 가르쳐줬다면, 양돈수의학이라는 과목을 배웠더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한다.

 

Q. 병원 진료는 어떻게 이뤄지나

연간 계약형태로 농장의 컨설팅을 맡는 방식이다. 계약농장이 되면 당장 질병문제가 있든 없든 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방문한다. 진료건수는 많지 않다. 기껏해야 하루에 두 농장이다. 때문에 사전에 충분히 고민하고 공부하고 연구하여 진료의 질을 높여야 한다.

사실 농장은 매일 자기 돼지들을 보고 방역문제로 타 농장을 참고하기 힘들기 때문에 농장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기 힘든 경우가 많다. 때문에 양돈 임상수의사는 제3자의 관점에서 농장현황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조언하여 생산성적 개선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수의사가 판단하는 개선점과 농장주가 원하는 바가 다른 경우가 많다. 이를 맞춰가면서 농장을 교육하는 작업도 중요하다. 수의사로서 돼지 자체를 봐야 할 경우도 있고, 농장을 운영하는 사람에 집중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 보니 양돈 임상수의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눈’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의미도 되고, 직접 봐야 안다는 의미도 된다. 직접진료다. 전화상담으로 대충 감은 잡고 가지만 직접 보면 다른 경우도 많다.

질병의 진단도 현장을 직접 방문하는 양돈수의사의 몫이다. 검역본부나 대학 등 별도의 병성감정기관이 대신할 수 없는 역할이다. 매번 농장을 방문해 온 수의사가 경험과 판단에 따라 병력, 임상증상, 검사결과를 종합해 판단해야 할 문제다.

141103 강원대 사이언스 페어5
지난해 강원대 수의대 사이언스페어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양돈수의사를 소개한 최종영 원장

Q. 최근 수의대 졸업생들이 산업동물 임상을 기피하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1차적으로는 학생들이 수의대에 들어오는 이유부터가 반려동물에 치중되어 있다. 개, 고양이를 길러본 학생은 많지만 돼지를 길러본 학생은 거의 없다. 친숙함부터가 다르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양돈임상에 대해 알려주는 것도 거의 없다. 양돈수의사를 하면 무슨 일을 하는지조차 제대로 알 수 없다. 그런 학생들이 졸업해 양돈업계에 들어오면 적응하기가 힘들 수 밖에 없다.

사료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돼지를 키워 돈을 어떻게 버는지, 어미 돼지가 몇 kg이나 나가는지, 돼지는 아플 때 어떤 소리를 내는지..아는 것이 없는 채로 처음 농장에 가게 되면, ‘어디까지 배워야 되는 건가’ 끝이 안 보이는 상황에 좌절하게 된다.

게다가 ‘돼지’란 무엇인지, ‘양돈수의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고민해볼 기회도 주어지지 않는다. 학교에는 이러한 문제를 얘기해주는 사람도, 양돈임상을 깊게 경험한 사람도 없으니 말이다.

 

Q. 대학이 양돈임상의 근본적인 역할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인가

수의사가 왜 양돈농장을 진료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양돈산업 자체가 가지는 의미와도 연결되어 있다. 식량안보는 왜 필요한가, 국내산 소비는 왜 필요한가, 이러저러한 양돈질병은 산업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져야 한다.

돼지를 보는 시각과 양돈수의학 발전에 대한 사명감을 학교에서 길러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과 철학이 바탕이 되어야 학생들 스스로 양돈수의사를 할 것인지, 어떠한 양돈수의사가 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Q. 양돈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은 어느 수준까지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사실 양돈임상역량을 제대로 갖추기 위해선 오랜 시간과 경험이 필요하다. 선배 임상수의사와 함께 다니거나 여러 증례를 통해 ‘임상수의사의 눈높이’를 높여야 한다. 이러한 현장경험을 수의대에서 다 해결해줄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기간을, 시행착오를 단축시킬 수 있는 바탕을 학교에서 만들어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료영양, 질병, 시설, 약품 등의 기본을 갖춰야 한다.

“여기까지는 배워야 한다”고 특정하기는 좀 어렵다. 하지만 돼지에 대한 철학적 고민을 바탕으로 양돈산업 전체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아야 한다. 돼지를 어떻게 길러 돈을 버는지 알아야 그에 맞게 진료할 수 있을 것이지 않나.

또한 많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임상의 기초는 갖춰야 한다. 지금처럼 각 과목에서 곁다리로 배우는데 ‘나는 양돈임상을 할거야’라며 필요한 부분만 뽑아내 자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학생은 없다.

본과 후반부 임상교육 기간에 양돈임상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과목을 신설하고 임상적인 관점에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현재는 본과 3, 4학년생들이 간혹 방학에 실습을 나오는 정도인데, 양돈임상을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니 자력갱생하는 실정이다.

 

Q. 반려동물 임상에서도 졸업 후 경험을 쌓으며 수련하는 시기가 필요하다는 것이 통설이다. 일부 학위과정을 제외하면 아직 이러한 기회를 일선 동물병원이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돈 임상현장에서도 후배 수의사를 배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가

대부분 1인체제로 개인동물병원에서는 힘든 점이 있다. 법인이 운영하는 동물병원에서 그러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지금도 여러 수의사들이 그러한 경로를 거쳐 개업에 이르렀다.

 

Q.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양돈 분야에 있는 수의사도 양돈수의사로 칭할 수 있겠지만, 양돈임상을 하는 수의사들이 잘 자리잡고 일어서야 주위에 있는 양돈분야 수의사들도 대우받고 바로 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제대로 서지 못하면 양돈 분야에 있는 수의사들의 지위도 높아질 수 없다. 의사의 대우를 개업의들이 결정하는 것과 같은 이야기다.

때문에 양돈 임상수의사들이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양돈산업환경과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더해 대학과 일선 병원의 산학협동 체계가 잘 정비된다면 한국의 양돈임상은 크게 발전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교육을 원한다①] 양돈 임상:최종영 도담동물병원장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