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해, 보호자들의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물병원 전용 영양보조제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후코이단은 최근 수의학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기능성 성분입니다.
* * * *
후코이단은 단순한 해조류가 아니다
후코이단은 20세기 초 해조류 표면의 점액 물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발견된 다당체입니다.
해조류가 거친 해양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하는 성분 중 하나로, 면역 밸런스 유지, 항산화, 항염, 항암 등의 효과에 대한 수천 편의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그 효능이 점차 밝혀지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 해조류 섭취만으로 후코이단의 기능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후코이단은 해조류에서 극미량만 추출되기 때문에 일상적인 식사를 통해 충분한 양을 섭취하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능성 원료로서의 후코이단은 고순도 추출과 체내 흡수율 향상 기술이 병행되어야 비로소 효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에 등재된 올리후코(Olifuco®)
후코이단은 단당체 퓨코스(fucose)와 황산기(SO₄)가 결합된 구조의 황산화 다당체로, 세포 내 활성산소를 조절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만 하이큐(Hi-Q)사의 ‘올리후코’는 후코이단의 분자량을 60배 낮춘 500Da 저분자 후코이단으로, 체내 흡수율과 생체 이용률을 높였습니다.
‘올리후코’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공식 웹사이트에 항암 관련 생리활성 물질로 등재되어 있을 만큼, 그 기능성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신뢰를 받고 있는 원료입니다.
하이큐사는 현재까지 SCI급을 포함한 64편 이상의 논문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다수의 논문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연구진은 신부전을 앓는 반려견에게 후코케이(올리후코 성분 포함)를 6개월 이상 급여하여 크레아티닌 및 BUN 수치 관리에 유의미한 효과와 장기 급여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후코이단이 가진 다양한 효능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이성 대장암, 국소진행성 대장암, 아토피 피부염, 천식, 비알콜성 지방간 등 6편의 인체임상 논문에서 후코시리즈의 주요성분인 올리후코와 후코발란의 의학적 효능에 대한 평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중 암과 관련한 대표 논문 3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1) Fucoidan induces Toll-like receptor 4-regulated reactive oxygen species and promot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mediated apoptosis in lung cancer (보러가기)
후코이단은 TLR4 경로를 통한 활성산소 생성 및 세포질그물(endoplasmic reticulum) 스트레스 유발로 폐암 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촉진합니다.
암세포 내부의 세포질그물 스트레스와 연관된 후코이단의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한 논문인데요, 후코이단 단독 급여로도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마우스 사육 15일차 시점에서 폐암 조직을 이식해 경과를 살펴보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마우스는 ▲후코이단을 먹이지 않은 그룹(CTL) ▲폐암을 이식하는 시점에서 후코이단 섭취를 중단한 그룹(EXP1) ▲폐암을 이식한 후에도 후코이단을 계속 섭취시킨 그룹(EXP2)으로 나누었는데요, 해당 논문의 실험에서는 폐암을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후코이단 단독 급여만으로도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후코이단이 암세포 내 세포질그물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 기전이 관찰된 결과입니다.

2) Fucoidan inhibition of lung cancer in vivo and in vitro : role of the Smurf2-dependent ubiquitin proteasome pathway in TGFβ receptor degradation (보러가기)
후코이단의 폐암 억제 효과를 in vivo 및 in vitro로 살핀 연구입니다. TGFβ 수용체 분해에서 Smurf2-의존성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경로의 역할을 조명했습니다.
연구진은 LLC1(Lewis lung carcinoma)을 수컷 C57BL6 마우스의 피하 등쪽에 접종하고 대조군과 후코이단의 급여량에 차이를 둔 3개 실험군으로 분류했습니다.
3주간 후코이단을 급여하고 실험 전 후의 종양 부피(A)와 무게(C), 마우스의 체중(D), 종양 병변의 TGFβ 수용체(TGFR) 단백질 수치(E)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후코이단 급여량에 따른 종양 억제 반응이 확인됐습니다. 고용량 그룹에서 종양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TGFR 단백질 발현 감소와 같은 분자 생물학적 변화도 함께 보고되었습니다.

3) The Use of Oligo Fucoidan in Cancer Bearing Dogs Undergoing Chemotherapy: A Double-Blinded Study (보러가기)
항암치료 중인 암 환견을 대상으로 올리고 후코이단의 효능을 살피기 위해 실시한 이중 맹검 연구입니다.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환견 100마리를 대상으로 올리고 후코이단(68마리) 혹은 위약(32마리)을 무작위로 3개월간 급여했습니다. 2~3주마다 혈액검사와 신체검사를 포함한 모니터링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후코이단을 급여한 치료군에서 식욕, 활력, 음수량, 체력 등 삶의 질 지표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됐습니다. 혈액학적 이상 반응을 포함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아 안전성도 입증했습니다.
* * * *
후코이단은 이제 해조류 성분 그 이상으로,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치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저분자 기술을 통해 체내 활용도를 높인 제품은 동물병원 전용 영양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수의학 분야에서의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