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 심각한데‥동물 항생제 내성관리 전담조직 없다
사료첨가 금지 후 이렇다할 진전 없다..원헬스 항생제 내성 연구사업 2019년 본격화
사람·동물·환경이 연계된 원헬스(One-Health) 항생제 내성 연구사업이 2019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하지만 동물에서의 항생제 사용관리는 사료첨가 금지 후 이렇다할 진전이 없어, 정책동력을 높일 전담조직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한항균요법학회는 2018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을 맞아 13일 여의도 CCMM빌딩 컨벤션홀에서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항생제 내성 문제는 비단 의료계의 문제만이 아니다. 동물에 투약된 항생제가 유발한 항생제 내성도 사람에 전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동물보건기구(OIE), UN식량농업기구(FAO)가 지난 5월 항생제 내성 공동 대응을 위한 MOU를 체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국내에서도 원헬스 관점의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연구사업이 본격화된다.
포럼 원헬스 분과의 정석훈 위원장(연세대 의대)은 “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검역본부, 환경부, 식약처 등 다부처가 참여하는 ‘원헬스 항생제 내성균 사업’이 내년부터 우선 시행된다”고 밝혔다.
동물에서의 항생제 사용량을 조사하고, 사람-동물-환경 간 내성기전 전파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사료첨가 금지 후 진전 미미..동물 항생제 사용량 증가세
국내 동물용 항생제 내성관리는 사료첨가 항생제 전면금지 조치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2007년 1,526톤이던 연간 동물용 항생제 사용량은 사료첨가 금지 조치 후 820톤(2013)까지 줄어들었다.
사용량이 줄어든 항생제 성분의 내성문제가 개선되는 효과도 포착됐다. 윤장원 강원대 교수는 “가령 테트라싸이클린은 사용량이 2007년 고점 기준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그에 따라 장구균의 내성이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개별 농가의 항생제 사용관리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배합사료 첨가가 금지됐을 뿐, 농가단위에서 예방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약하는 문화도 여전하다.
2013년 수의사처방제가 도입됐지만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는데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모든 항생제를 전문의약품으로 관리하는 의료계와 달리, 수의사 처방대상으로 지정된 항생제 성분은 34종에 그친다. 사용량이 많은 페니실린계열 항생제는 제도 도입 5년이 지난 이번 달이 되어서야 처방대상으로 합류했다.
게다가 처방대상으로 지정된 항생제도 수의사 진료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현실은 여전하다. 동물용의약품판매업소와 결탁한 수의사들이 처방전 문제를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결국 동물용 항생제 사용량은 현재 증가추세로 돌아서 2017년 1천톤을 다시 돌파했다. 공교롭게도 수의사처방제가 도입된 2013년이 전환점이었다.
이미 생긴 내성 쫓기 급급..항생제 사용관리 위한 전담조직 확보해야
검역본부 관계자는 “현재 동물 항생제 내성을 담당하는 인원은 1.5명에 불과하고 전담조직도 없다”며 “선진국이나 축산규모가 비슷한 다른 나라의 동물 항생제 관리 조직과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동물용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에만 미국(22명), 일본(4명), 덴마크(7명) 등 해외 선진국들이 전담 조직과 인원을 투입하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전담인원이 없다 보니 동물용 항생제 내성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을 추진하기도 어렵다.
현재로선 가축이나 축산물에서 이미 발생한 항생제 내성의 실태를 매년 모니터링하는데도 급급한 실정이다.
이 관계자는 “항생제 내성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전담인력을 확보해 항생제 사용관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석훈 위원장은 “항생제 내성관리에 참여하는 부처 모두가 전담인원과 조직확대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복지부, 농식품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 모두 증원은 결국 1명도 없었다”며 “실질적인 증원이 이뤄져야 내성문제 대응의 정책적 동력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