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사는 슈퍼맨 역할…동물실험기관에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배치 필요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제도화 필요성 강조
국내 실험동물 숫자가 매년 늘어나고, 실험동물의 복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험동물 전임수의사(Attending Veterinarian, AV) 제도화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국회토론회에서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제도화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여전히 제도화는 요원하다.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가 다시 한번 전임수의사의 필요성을 짚었다.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한국실험동물학회 국제심포지엄에서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KCLAM)가 별도 세션을 운영했다. 이 자리에서 이병한 박사가 실험동물 전임수의사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
동물자원관리부터 수의학적 처치, 법규정 준수까지…실험동물 수의사는 ‘슈퍼맨’
300여 개 동물실험기관 중 수의사 있는 곳은 1/3뿐…이마저도 행정업무에 종사하는 경우 많아
AAALAC International(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에 따르면, 실험동물 전임수의사는 ▲연구, 실험, 교육, 생산에 사용되는 동물의 복지와 임상적 관리에 책임이 있고 ▲동물사용의 모든 순간과 동물 삶의 모든 과정에서 동물복지를 신경 써야 하며 ▲수의학적 처치는 항상 최상의 보살핌과 윤리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
미국실험동물수의사회(ACLAM)에서도 실험동물 전임수의사의 역할로 1. 동물자원 관리 2. 수의학적 관리 3. 연구자 자문 4. 법규정 준수 지원 5. 연구 6. 교육 및 훈련 등 6가지를 제시한다.
동물자원 관리만 해도 동물은 물론, 직원을 위한 산업안전 건강프로그램 개발까지 포함한다. 법규정 준수 지원 역할은 기관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필수적인 정책과 관련 규정을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수의사로서 마취제, 진통제, 안락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동물의 행복을 촉진해야 하는 것은 물론, 과학자, 연구기술원, 학생, 사육기술원 등에 대한 교육과 훈련 역할도 해야 한다.
결국, 동물실험실시기관에서 수의사는 매니저며 임상가이며 기획자이며 술자이며 조사관이며 연구자 역할까지 해야 한다. 실험동물 수의사는 사실상 ‘슈퍼맨’인 것이다.
하지만 국내 상황은 다르다.
과도하게 동물을 밀집사육하거나, 건강문제를 그대로 방치하는 일, 동물실험계획과 다른 실험을 하거나, 동물의 고통을 무시하는 등 현장에서 비윤리적 동물실험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실험동물의 복지가 보장되지 않는 것이다.
이런 문제들은 종종 사회적인 이슈로 번지기까지 한다.
이 때 실험동물 전임수의사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선진국은 실험동물의 복지를 보장하기 위한 ‘실행기구’로써 전임수의사를 두고 있다. 앞서 소개한 여러가지 역할을 통해 실험동물의 복지를 보장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300여 개 동물실험실시기관 중 수의사를 고용한 곳은 1/3에 그친다. 이마저도 실험동물전문수의사(DKCLAM) 자격을 갖춘 경우는 드물고, 수의사가 행정업무까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실험동물전문수의사(DKCLAM)는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가 시행하는 인정시험에 통과한 전문 자격을 갖춘 실험동물수의사를 뜻한다.
이병한 박사는 “기관에서 실험동물 수의사는 동물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관장하기 때문에 시설기관장이 수의사에게 권한을 줘야 한다”며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행정업무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대 수의대 박재학 교수가 한 언론사와 가진 인터뷰에 따르면, 해외 선진국에서는 실험동물 3~5만 마리마다 한 명꼴로 전임수의사가 상주하며 실험 과정이 과학적, 윤리적 원칙에 맞게 잘 지켜지고 있는지 관리한다. 반면, 연 33만 마리의 동물을 실험하는 서울대에는 실험동물 윤리를 담당하는 전임수의사는 아예 없고, 수의사법에 따른 관리 수의사만 1~2명 상주한다.
결국, 한 사람당 선진국의 최대 10배의 실험동물을 관리하는 셈이다. 실험 윤리가 제대로 지켜지는지 현장을 감시하는 일이 애초에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실험동물 전임수의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하도록 법제화하여 현장의 동물실험을 제대로 관리하고 실험동물의 복지를 높이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 4월 24일 ‘세계 실험동물의 날’에 열린 실험동물 복지 확대를 위한 국회토론회에서 ‘현장에서 실험동물의 복지와 연구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실험동물 전임수의사(Attending Veterinarian)의 역할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여러 차례 제기됐다.
당시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의 이형주 대표는 “연구를 위해 질병이나 부상을 의도적으로 발생시키는 동물실험 현장에서, 동물의 건강과 복지를 책임질 수 있는 수의사가 존재하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은 의아할 정도”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1년 3개월이 지난 현재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제도화는 여전히 요원한 상태다.
높아지는 실험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과 늘어나는 실험동물 수를 고려할 때, 더는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제도화를 미룰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