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동물(유실동물 포함) 발생 수가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투입된 세금은 대폭 늘어났다.
검역본부의 <2020년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따르면, 2020년 연간 유기동물 발생 수는 총 130,401마리로 2019년(13만 5791마리) 대비 약 3.9%(5,309마리) 감소했다(유실동물 포함).
전국 지자체 280개 동물보호센터에 입소된 개체만 파악한 수치다.
유기동물 발생 수는 감소했지만,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된 세금(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대폭 늘었다.
2020년 1년 동안 지자체 동물보호센터 운영(유기동물 구조, 치료, 보호, 안락사, 입양 홍보 등)에 투입된 세금은 총 267.2억원으로 전년(232억원) 대비 15.1% 늘어났다.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된 세금은 2018년 28.9%, 2019년 15.8% 등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 경기도 34.6%, 전남 47.2% 증가
유기동물 줄었는데 투입 세금 증가…왜?
유기동물 수는 줄었는데, 왜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된 세금은 증가했을까?
한 동물단체 대표는 본지와의 통화해서 “지자체별로 상황이 다르겠지만, 직영 동물보호센터 수가 늘어났고, 인력 확충, 시설 개보수, 양질의 사료 급여 등 각 센터의 동물관리 수준이 향상된 결과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지자체가 직영보호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고, 동물보호센터 운영관리에 더욱 신경을 쓴다는 의견이었다.
직영 동물보호소 8개 증가
평균보호 기간은 27일로 동일
전국 지자체 동물보호센터는 2020년 말 기준 280개소로 2019년(284개) 대비 4개 감소했다. 운영 형태를 보면 민간위탁(위탁보호, 228개소)이 가장 많았으며, 지자체 직영(47개소), 시설위탁(5개소) 순이었다.
특히, 전체 동물보호센터가 4개 줄어들었음에도, 직영 동물보호센터가 2019년(39개) 대비 8개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직영보호센터가 늘어난 지자체는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투입 세금)도 함께 증가했다.
직영 센터가 4개에서 7개로 늘어난 경기도는 연간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이 34.6% 증가했다. 2019년 50억 8400만원에서 68억 4천만원으로 17억 5천만원 이상 더 많은 세금을 투입했다.
직영 동물보호센터가 6개에서 8개로 늘어난 전남도 투입 세금이 전년 대비 47.2% 늘어났으며, 직영 센터가 2개 늘어난(8개->10개) 경남도 센터 운영비용이 13.0% 늘었다.
전국 지자체 동물보호센터 운영인력도 817명에서 1,086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단, 평균 보호기간은 27일로 전년과 같았다. 보호기간이 가장 긴 지자체는 전남과 세종(각 30일)이었으며, 가장 짧은 지자체는 대구(13일)였다.
보호형태는 분양(입양) 29.6%, 인도(반환) 11.4%, 자연사 25.1%, 안락사 20.8%, 보호 중 10.4%, 기증 1.2%, 기타 1.7%였다.
TNR 사업 운영 예산, 반려동물 관련 영업, 지자체 동물보호감시원·명예감시원에 관한 기사가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