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2019년 고양이에서 많이 확인된 종양은/네오딘바이오벳 학술부


2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동물진단 전문검사센터 네오딘바이오벳에서 2019년 한 해 동안 의뢰된 조직병리 검사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를 통해 개와 고양이에서 많이 발생하는 종양은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설명을 곁들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의뢰된 총 7019건 중 비종양성 병변(Non-tumoral Lesion)으로 진단되거나 나이를 알 수 없는 샘플, 개와 고양이 이외의 동물인 경우(총 2081건)를 제외했다. 노령의 기준으로 7세, 고령의 기준으로 12세를 적용해 통계처리 하였다.

본 검사실에 의뢰된 검체에 한하여 통계를 냈기 때문에 경향성은 파악할 수 있으나 전체 질병 발생율은 대변할 수 없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표1. 고양이에서 종양으로 진단된 전체 건수와 각 종양별 진단건수, 주요 11종의 진단명.  양성과 악성 종양이 모두 항목에 있는 경우 편의상 일괄 표기하였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표1. 고양이에서 종양으로 진단된 전체 건수와 각 종양별 진단건수, 주요 11종의 진단명.
양성과 악성 종양이 모두 항목에 있는 경우 편의상 일괄 표기하였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2019년에 고양이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것은 2018년도와 마찬가지로 비만세포종(Mast cell tumor, 총 130건, 34.1%)이었다.

그 다음으로 악성 유선종양(Mammary gland tumor, Malignant, 총 66건, 17.3%), 양성 지방종(Lipoma, 총 45건, 11.8%), 악성 연부조직 종양(Soft tissue sarcoma, 총 35건, 9.2%) 등이 많이 진단되었다. 

양성과 악성을 구별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Lymphoma와 Mast cell tumor 진단 건수를 제외하고 연령별 암으로 진단된 건수는 7세 미만에서 61건, 7세 이상 12세 미만에서 127건, 12세 이상에서 47건이다.

7세 이상 12세 미만에서 양성 지방종과 악성 유선종양의 건수가 증가하며 진단 건수가 상승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중 악성종양은 7세 미만에서 30건, 7세 이상 12세 미만에서 62건, 12세 이상에서 32건이다.

그림1. 고양이에서 나이별 진단율.  비만세포종 외 주요 7개의 진단명에 대한 건수를 표기하였다.  Basal cell tumor, Benign은 Trichoblastoma와 Trichoepithelioma를 모두 포함한 건수이며 다른 진단명에 대한 자료는 표1을 참고하기 바란다.
그림1. 고양이에서 나이별 진단율.
비만세포종 외 주요 7개의 진단명에 대한 건수를 표기하였다.
Basal cell tumor, Benign은 Trichoblastoma와 Trichoepithelioma를 모두 포함한 건수이며 다른 진단명에 대한 자료는 표1을 참고하기 바란다.
그림2. (왼쪽) 다발성으로 발생한 비만세포종  (오른쪽) 높은 유사분열상을 보이는 비만세포종의 조직병변.
그림2. (왼쪽) 다발성으로 발생한 비만세포종
(오른쪽) 높은 유사분열상을 보이는 비만세포종의 조직병변.

고양이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비만세포종의 경우 7세 미만에서 진단된 건수가 전체 비만세포종 진단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비만세포종 총 진단건수 130건, 7세 미만 70건, 53.8%).

나이가 들수록 비만세포종의 진단 건수는 감소하지만 7세 이상 12세 미만에서 진단된 종양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7세 이상 12세 미만 총 180건, 비만세포종 48건, 26.7%).

고양이 비만세포종은 양/악성을 구별하거나 확립된 Grade 체계는 아직 없으며 다발성으로 발생하거나 유사분열상이 높을 경우 예후가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연령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7세 이상 12세 미만에서 암 진단 건수가 가장 많다.

비만세포종, 양성 지방종, 악성 유선종양의 진단율이 두드러진다(총 180건 중 각 26.7%, 16.7%, 21.1%).

이 중 유선종양은 고양이의 경우 개와 달리 악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

총 87건의 유선종양 발생 건수 중 양성은 약 24.2%(21건), 악성은 75.9%(66건)이다. 연령별로 7세 미만에서 0.9:1, 7세 이상 12세 미만에서 1:4.2, 12세 이상에서 1:18로 악성의 비율이 전연령에서 높게 확인되었다.

그림3. (왼쪽) 만성 장 염증성 질환을 가진 고양이에서 탐색적 개복술 시 발견된 두꺼운 장관 병변.  (오른쪽) 만성 장 질환을 가진 100마리의 고양이에서 조직 생검을 통해 확인한 진단명.
그림3. (왼쪽) 만성 장 염증성 질환을 가진 고양이에서 탐색적 개복술 시 발견된 두꺼운 장관 병변.
(오른쪽) 만성 장 질환을 가진 100마리의 고양이에서 조직 생검을 통해 확인한 진단명.

고양이 림포마(Lymphoma)는 2019년 네오딘바이오벳에서 12건(전체 진단건수에서3.15%) 진단됐다. 표본은 작으나 전 연령에서 고르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7세 미만 3건, 7세 이상 12세 미만 5건, 12세 이상 4건).

12건 중 5건이 위장관 조직으로 의뢰됐다. 그 외에는 귀나 전지 등 피부에서 발견된 종괴가 의뢰됐다.

고양이 위장관 림포마(alimentary lymphoma)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과 더불어 고양이 위장관계 질환에서 주요한 질환이다.

만성적인 구토나 설사, 체중 감소 등 비특이적인 임상증상을 가지며 내부 장기에서 발생하는 특징 때문에 명확한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이 많은 질환이다4.

의심되는 환묘가 있을 경우 확진을 위해서는 초음파나 내시경 등 영상학적으로 두꺼워진 장을 확인하고 조직 생검(Biopsy) 등 비교적 침습적인 방법을 통해 세포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해야 한다(그림4, 왼쪽)5.

보고된 바에 따르면 만성 장질환을 가진 100마리의 고양이 중 장염인 경우가 약 49%, 림포마인 경우가 46%로 염증인 경우와 종양인 경우가 비슷하게 나타난다(그림3, 오른쪽)6.

IBD인지 종양인지에 따라 기대 수명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그림4, 오른쪽)5 두 가지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IBD와 림포마를 감별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는 혈청으로 TK1(Thymidine kinase 1) 표지자와 HPT(Haptoglobin)를 함께 측정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조직 생검이나 탐색적 개복술보다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는 종괴 부위를 세침흡인검사(FNA)한 후 해당 세포에 대해 PARR(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o identify antigen receptor rearrangements)법으로 검사하여 단클론성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그림4. (왼쪽) 장관림포마로 확진된 장관 종괴의 조직 biopsy 검사 결과.  (오른쪽) 만성 장 질환을 가진77마리의 고양이에서 PARR검사를 통해 진단한 IBD와 림포마 환자 간의 생존 그래프.
그림4. (왼쪽) 장관림포마로 확진된 장관 종괴의 조직 biopsy 검사 결과.
(오른쪽) 만성 장 질환을 가진77마리의 고양이에서 PARR검사를 통해 진단한 IBD와 림포마 환자 간의 생존 그래프.

1. Mast Cell Tumors in Cats: Clinical update and possible new treatment avenues, 2013,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15, 41–47

2. Grading Cutaneous Mast Cell Tumors in Cats, 2018, Veterinary Pathology, 1-7

3. Prognostic Value of Histologic Grading for Feline Mammary Carcinoma: A Retrospective Survival AnalysisVeterinary Pathology, 2015, 52(2), 238-249

4. Differentiating Feline Inflammatory Bowel Disease From Alimentary Lymphoma in Duodenal Endoscopic Biopsies, J Small Anim Pract, 2016, 57 (8), 396-401

5. Feline alimentary lymphoma:a guide to cyt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diagnosis for the general practitioner, Companion animal, 2019, 24(9), 466-471

6. Diagnosis of Chronic Small Bowel Disease in Cats: 100 Cases (2008-2012), J Am Vet Med Assoc, 2013 , 243 (10), 1455-1461

자세한 사항이나 검사관련 문의는 네오딘바이오벳 학술부(E-mail : vetlab@vetlab.co.kr / yjcho@vetlab.co.kr, TEL. : 02-1661-4036)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기고] 2019년 고양이에서 많이 확인된 종양은/네오딘바이오벳 학술부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