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예방적 살처분 논란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백신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올 겨울 가금농장에서 H5N8형 고병원성 AI가 지속 발생하면서 예방적 살처분(이하 예살), AI 백신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고병원성 AI 현장 전문가들이 제시한 아래 문제점을 3부에 걸쳐 소개한다. 상세한 내용은 각 기사의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돋보기① 3km 예방적 살처분의 모순 (보러가기)

H5N8형 고병원성 AI가 국내에 발생한 것은 지난 2014~2016년 이후 두 번째다. 하지만 가금농장에서의 발생 양상은 달라졌다.

농장간 수평 전파로 피해규모가 커졌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야생조류에서 유래한 바이러스가 농장으로 유입된 원발 발생이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예살 농장에서도 양성 사례가 다수 확인됐던 예년에는 예살 범위를 빠르고 넓게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반면 산발적 원발 발생이 주를 이룬 올 겨울에는 반경 3km인 예살 범위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재홍 전 서울대 교수는 “야생조류로 인한 원발성이라고 한다면 반경 3km 예살은 논리적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돋보기② 원 그리기 방역에서 농장별 대응 시나리오로 (보러가기)

방역당국의 예살 명령을 거부하는 농가도 다시 출현했다. 화성 소재 친환경 산란계농장인 산안농장은 지난달 말 내려진 예살 명령을 거부했다.

동물복지형 사육은 고병원성 AI 예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해당 농장이 경기도가 선정한 방역선진형 농장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원 그리기식 방역에 대해 현장의 거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위험성 평가 기반의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예살 범위를 포함한 발생 시 대응 시나리오를 각 농장별로 평시에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돋보기③ AI 백신접종,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보러가기)

강력한 예살과 차량 이동제한으로 수평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다가 아니었다. 채 두 달도 되지 않아 고병원성 AI 발생 농장은 60곳에 육박하고 있다.

‘국내 가금농장 다수가 차단방역으로 고병원성 AI를 막을 역량이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드러난 것이다.

때문에 고병원성 AI 백신이 다시 주목받는다. 코로나19 판데믹을 지나며 AI 인체감염 위험에 대한 막연한 공포심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종웅 가금수의사회장은 “(예살 범위가) 500m냐 3km냐를 논쟁하는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언제까지 백신을 쓰지 않을 것인지 질문을 던질 때가 됐다”고 꼬집었다.

고병원성 AI, 예방적 살처분 논란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백신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