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대비 전국 16개 권역으로‥발생 시 권역별 이동제한

겨울철 멧돼지 저감 강도 높인다..영월·양양 발생에도 광역울타리는 지속 유지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광역울타리를 너머 지속 확산되면서 당국이 특별방역대책을 재정비한다고 14일 밝혔다.

멧돼지 번식기의 개체수 저감 강도를 높이는 한편, 전국을 16개 권역으로 나눠 농장 발생 시 권역단위로 이동을 제한할 방침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14일 브리핑에서 “고병원성 AI,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응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ASF 멧돼지 발생지역(붉은색)과 양돈농가(푸른색) 분포
(자료 :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

14일까지 국내 멧돼지에서 확인된 ASF는 총 941건이다. 최근 광역울타리 이남인 강원도 영월과 양양에서 잇따라 ASF 양성 멧돼지가 확인되면서 전국 확산 우려가 커졌다.

중수본은 “대다수의 양돈농장이 야산 인근에 있어 농장 내로 바이러스 유입이 용이하고, 축산차량 농장 출입 등 방역 여건이 취약한 실정”이라며 “봄철 개체수가 크게 증가할 우려가 있어 동절기 동안 개체수의 획기적 저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수본은 멧돼지 ASF 검출이 집중되고 있는 기존-신규 광역울타리 사이 구간을 핵심대책지역으로 설정하고 울타리 보강 및 포획 강화에 나선다.

울타리 손상구간이나 멧돼지들이 드나들 수 있는 하천교량·교차로 등 취약구간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제히 보강하고, 멧돼지 분산이 없도록 작은 지역 단위의 총기포획 작전을 제한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영월·양양 신규발생지역의 전파경로 파악을 위한 검사도 확대한다. 기존 경기·강원 북부 발생지역과 영월 사이 구간의 폐사체 수색을 강화하고, 멧돼지 목욕장·비밈목의 환경검사를 실시한다.

김현수 장관은 “폐사체 수색과 환경검사, 엽사 활동내역 조사 등을 통해 (멧돼지) 개체 간 전파인지 인위적 전파인지 현재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아직 멧돼지에서 ASF가 발견되지 않은 나머지 지역은 양돈농가 주변으로 대책을 마련한다. 양돈농가 밀집지역 주변에 선제적으로 울타리를 설치하는 한편, 양돈농가 주변에서 외곽 방향으로 포획을 실시해 농가 주변 멧돼지의 서식밀도를 우선적으로 저감할 계획이다.

김현수 장관은 “현재 전국 멧돼지의 서식밀도는 ㎢당 4.1마리 수준”이라며 “순환감염을 막을 수 있는 ㎢당 2마리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저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자료 :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

사육돼지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시설 설치를 강화한다. 기존 경기·강원 북부 중점관리지역 농가에 의무화됐던 8대 방역시설 설치를 영월 인접 12개 시군으로도 확대한다.

기존 사육돼지 ASF 16건 중 11건이 모돈에서 발생했던 점을 감안해 이들 시군의 모돈사 내부공사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모돈·비육돈 계류장소나 도축시간을 분리하는 등 교차오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도 적용된다.

향후 사육돼지에서 ASF가 발생할 경우에는 권역별 방역조치가 적용된다. 기존에 시도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적용되던 돼지 이동금지, 분뇨 이동금지 등의 이동제한 조치를 전국 16개 권역으로 세분화해 적용한다.

영월을 중심으로 강원남부, 충북북부, 경북북부를 우선 권역화하고, 향후 16개 권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멧돼지 ASF가 집중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권역을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하고 권역 내 축산차량은 권역 밖으로의 이동을 금지한다. 사료차량도 환적장을 설치해 권역 내외를 드나들 수 없게 할 방침이다.

김현수 장관은 “멧돼지 ASF 확산으로 양돈농장에 오염원 유입이 우려되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전국 양돈농장은 방역시설을 신속히 개선하고 기본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요청했다.

ASF 대비 전국 16개 권역으로‥발생 시 권역별 이동제한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