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자유연대 ‘고양이 고병원성 AI, 오리고기 원료공급과정 부실 방역’
‘방역자원 낭비..실효성 없는 고양이 감염검사 중단’ 촉구
동물자유연대가 1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양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관련 방역당국의 대응을 규탄했다.
실효성 없는 고양이 대상 감염검사는 중단하고, 원료공급과정의 부실 방역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25일과 31일 서울시 용산구와 관악구 소재 동물보호시설의 고양이에서 연이어 H5N1형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 2016년 포천 이후 고양이에서의 고병원성 AI 감염사례는 7년여만이다.
발생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관악구 발생시설 역학조사 과정에서 채취한 사료에서 H5N1형 고병원성 AI가 검출됐다. 오리고기를 재료로 한 생식사료 제품으로, 제조과정에서 멸균·살균 공정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전국적인 회수·폐기로 이어졌다.
이와 별개로 서울시 및 발생지역 인근, 고병원성 AI 다발 시군의 길고양이에 대한 AI 감염실태 조사와 동물보호소·번식장 등을 대상으로 한 능동예찰도 진행됐다.
이에 대해 동물자유연대는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무차별적 검사는 합리적이지도 과학적이지도 않다”고 비판했다.
전국에 산재한 보호시설의 고양이들 모두 관리인·시설·먹이가 다른데다, 발생시설 두 곳 모두 감염 발생 두 달여 전부터 새로운 개체의 유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타 고양이로 인한 전파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동물자유연대는 “조류인플루엔자가 포유류 간 전파가능성이 낮다는 기존 연구를 감안하면, 보호소 고양이나 길고양이에 대한 검사는 감염경로 확인이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 부적합하다”며 “사료에서 AI 항원이 확인된 이후에도 (고양이 검사) 기조가 유지되는 것은 방역자원의 낭비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동물자유연대는 이번 고양이 고병원성 AI 감염 원인으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먹이(사료)를 지목하며, 오리고기 생산 과정의 방역부실에 초점을 맞췄다.
가금농가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를 파악하지 못한 채 그대로 유통됐고, 이를 재료로 한 사료를 매개로 고양이 감염사태까지 발생했다는 것이다.
동물자유연대는 “특정 제품에서만 AI가 검출되고 사료제조업체의 다른 종류(닭) 제품이나 집기, 시설 등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AI 바이러스는 가금농가에서 전파됐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가장 큰 문제는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생육이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고 그대로 유통되어 소비됐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고양이에 대한 감염검사 중단과 원료 공급 과정 부실방역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