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률이 높은 인수공통감염병 큐열(Q Fever)
큐열은 콕시엘라 버내티(Coxiella burnetii)라는 균에 감염돼 발병하는 질환이다. 큐열균에 감염되면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발열, 근육통, 오한, 급성 간염 등의 발열성 증상이 나타나며, 감염 환자의 약 5%는 만성 큐열로 진행된다. 만성 큐열은 심내막염이나 혈관감염과 같은 중증 질환이 나타나고, 적절한 치료에도 약 20%의 사망률을 보여 적극적인 질병 관리가 중요하다.
주요 감염원은 큐열균에 감염된 소, 양, 염소 등의 젖이나 소변, 분만물이다. 하지만 야생동물, 반려동물, 새, 진드기 등을 통해서도 감염이 매개될 수 있다.
2006년 법정 감염병 지정..꾸준하게 발병률 증가
국내의 경우 2006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되었지만, 그동안 큐열에 인식이 낮아 적절한 대책이 전무한 상황이다. 최근의 자료들을 살펴보면 국내에서도 발병률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른 산발적 유행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큐열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신호(아래 그래프 참조)에 따르면 아주대 의대 감염내과 허중연 교수와 농림축산검역본부 공동 연구팀의 분석 결과, 국내 큐열 환자는 법정 감염병 지정 이후 수년간 매년 10건 안팎으로 보고되다가 2015년부터 환자가 급증하기 시작해 2018년에는 163건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0년 이후 신고 건수가 감소했지만, 이는 큐열의 위험이 낮아졌다기보다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과 진단 기준의 변경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국내 큐열병 역학조사 결과 2011∼2017년에는 전국적으로 인구 10만명당 연간 평균 발생률이 0.07건으로 낮았으나 2017년에는 10만명당 0.19건으로 급격히 증가했다”면서 “특히 충북(연간 10만명당 0.53건)과 충남(연간 10만명당 0.27건) 등 중서부 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의 큐열 발병
아래의 표와 같이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 우군에 큐열 발병률이 굉장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국내의 발병률도 18%를 보였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매우 큰 네덜란드(유럽)의 큐열 유행 사례
2007∼2010년 네덜란드 동남부 지역에서 약 4천100건의 급성 또는 만성 큐열이 발생해 19명이 사망했다. 발병 초기에 네덜란드 정부가 자발적인 예방 접종 등 소극적인 조처를 하면서 큐열이 더욱 확산되었다. 결국 감염이 발생한 농장에서 키우던 5만 마리 이상의 임신한 염소와 양을 살처분한 후 감염이 종식되었다. 당시 큐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최대 3억 3천 600만 유로(약 4천 69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국내 농장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규모와 유형을 고려할 때, 염소와 양의 번식 밀도가 높았던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대규모 큐열 유행 가능성은 작지만, 산발적인 소규모 유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따라서 네덜란드와 같은 사례를 막기 위해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 염소 고기 수요가 늘면서, 자연스럽게 염소 사육두수와 사육 농장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큐열 유행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더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에서 실시한 연구 결과(‘2020년 염소 농가 종사자 대상 큐열 혈청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염소, 양 사육농가 종사자들에서 높은 유병률이 확인되었다.
위의 그래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염소 및 양 사육두수가 많은 지역에서 큐열 유병률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래의 축산업자 대상 큐열 유병률 검사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유병률이 확인되었다.
아래의 표에서는 염소 사육 두수와 큐열 유병률 사이의 상관관계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여러 자료 및 국내의 상황을 고려하면 현재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아울러 큐열은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서도 치명적인 인수공통감염병이므로 사육농가 및 관련 종사자들을 위한 실효성 있는 예방 및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1. Seroprevalence of Q fever in goat farm workers in the Republic of Korea, 2020 Juha Song, Ho-Sung Lee, Ji Yeon Lee, Seung Hwan Shin, Geun-Yong Kwon Division of Control for Zoonotic and Vector borne Disease, Bureau of Infectious Disease Policy,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Miyeon Kim, Byoungchul Gill, Jaeil Yoo Division of Bacterial Diseases, Bureau of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Control, KDCA
2. Ceva Ruminant knowledge hub, Q-fever, Q Fever in cattle: what is its real prevalence? (ceva.pro)
3. Cho YS, Park JH, Kim JW, Lee JJ, Youn SY, Byeon HS, Jeong HW, Kim DM, Yu SN, Yoon JW, Kwak D, Yoo HS, Lee JY, Kwon JR, Hwang KW, Heo JY. Current Status of Q Fever and the Challenge of Outbreak Preparedness in Korea: One Health Approach to Zoon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