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푸드 관리, 농장동물과 달라‥사료관리법서 분리해야

국산·수입 수출입 불균형..동물성 원료 확보·수출시장 확대 과제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반려동물용 사료에 대한 법적관리를 농장동물에서 분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열린 ‘반려동물 복지 및 연관 산업 활성화 지원 심포지엄’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 대한 공감대가 엿보였다.

181017 nias2

이날 지인배 동국대 교수가 소개한 국내 반려동물 연관 산업 통계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국내 반려동물 사료업체는 24개소로 약 2,200억원의 생산액을 기록했다.

수출입에서는 불균형이 이어지고 있다. 2016년 기준 국내산 펫푸드의 수출액은 1,350만 달러에 그친 반면, 수입액은 13배에 달하는 1억 7,433만 달러였다.

김종복 한국펫사료협회장은 “국내 펫사료 시장은 소매 기준 1조~1조 4천억원 규모로 추정된다”며 “양적으로는 국산이 많이 소비되지만, 금액적으로는 수입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펫사료의 65% 가량이 국산이지만, 건사료 위주의 중저가 제품이 많다는 것. 금액으로 환산하면 수입산 사료 소비액이 전체의 65%를 차지한다는 분석이다.

국내산 사료의 품질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제로는 ‘동물성 원료의 공급 문제’가 꼽혔다.

국내 생산된 축산물 대부분이 사람 식용으로 쓰이는 데다가, 다양한 부산물까지 식자재로 활용하는 한국의 식문화로 인해 동물성 원료를 원활히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김종복 회장은 “사람이 먹는 재료로 펫푸드를 만들겠다는 움직임도 있지만, 이는 일부 고가제품 시장이면 모를까 펫푸드 업계의 주류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국내산 펫사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동물성 원료의 원활한 공급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출시장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김종복 회장은 “소포장 위주의 펫푸드는 국제 무역이 상대적으로 빈번한 품목”이라며 “국내 펫푸드 생산은 이미 국내시장 만으로는 포화상태인 만큼 동남아 등 해외 수출을 노려야 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조우재 제일사료 수의영양연구소장은 “국내산 펫푸드 수출의 70% 이상이 고양이용 사료”라며 “반려동물 사료 관련 국내 R&D 투자가 반려견 뿐만 아니라 반려묘에도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펫사료협회 김종복 회장
한국펫사료협회 김종복 회장

지인배 교수는 “현행 사료관리법이 농장동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반려동물용 사료를 고려한 관리제도가 미비하다”며 제도 정비 필요성을 지목했다.

보건위생상의 이유도 제시됐다. 국립축산과학원 지상윤 연구사는 “일반 시민이 접촉할 일이 없는 농장동물용 사료와 달리, 펫푸드는 집에서 사람에게 흔히 노출된다”며 “농장동물과 반려동물용 사료는 보건위생상 관리기준을 달리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복 회장은 “농장동물과 반려동물의 먹거리는 소비자의 요구나 제품의 특성이 확연히 다르다”며 “펫푸드 관리제도를 분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이미 많이 형성됐다”고 강조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