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 농장은 시대적 흐름…무차별 수용 아닌 우리나라 실정 고려필요

생산자·소비자가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동물복지형 산란계사 도입 必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김준영 (사)농어업정책포럼 동물방역복지분과위원장이 동물복지 산란계사 국회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했다. 그는 ▲’무차별 수용이 아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단계별/점진적’ ▲’규모에 따른 유형별’ ▲’지속 가능한’ 동물복지형 산란계사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20190626animal welfare egg2

“1인당 축산물소비량 연간 60kg에 육박…이제는 좋은 걸 먹어보자는 수요 있어…그 틈새시장이 동물복지 축산물”

김준영 위원장(사진)은 “1인당 축산물소비량이 연간 60kg에 육박할 정도로 늘어났다”며 “이제는 더 좋은 걸 먹자는 수요가 있고, 그 수요를 동물복지축산물이 공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장 모든 국민이 동물복지축산물을 소비할 수는 없지만, 더 좋은 걸 먹어보자는 수요를 ‘틈새시장’이라고 봤을 때 동물복지축산물, 그중에서도 동물복지인증 계란이 그 틈새시장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는 “조금 더 건강한 닭이 낳은 달걀을 먹고 환경도 생각하는 차원에서 우리 가족부터 동물복지인증 계란을 소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준영 위원장 발표자료 발췌
김준영 위원장 발표자료 발췌

동물복지형 산란계사는 ▲평사형 ▲평사형 다단식(aviary) ▲방사형 ▲시스템방사형 등 크게 4가지가 있다.

김준영 위원장은 농가의 규모와 상황을 고려해 농가별로 가장 적합한 동물복지형 산란계사를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500~3천수 수준의 소규모 농가에는 난상자동화, 사료자동화 시설 등 설비만 추가로 지원하고, 5천수 이상에는 방사형 시설을, 2만 5천수 이상에는 다단식 시설은, 3만 5천수 이상에는 시스템방사형을 도입하는 것이다.

실제 농어업정책포럼 동물방역복지분과는 이런 방식의 시범사업을 정부에 건의했다.

20190626animal welfare egg5

각 형태별도 장단점이 분명하다.

평사형 동물복지 산란계사는 추가 따로 큰 시설투자가 필요하지 않아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지만, 공간 활용도가 낮아 많은 수의 닭을 기르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 사육 두수보다 최대 1/12 수준까지 사육 마릿수가 급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축산물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이는 소비자들의 불편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

평사형 다단식(Aviary) 동물복지 산란계사는 일반 평사사육이나 방사 사육보다 공간 활용도가 높고, 자동화시설을 갖추고 있어 노동력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패널 토론자로 나선 이혜원 박사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약 70%의 산란계 농장이 이런 방식(Aviary)으로 운영된다고 한다. 다만, 방사 사육 수준의 동물복지 기준을 요구하는 사람들의 눈높이에는 맞지 않을 수 있다.

방사형 동물복지 산란계사의 경우 동물복지 차원에서는 높은 눈높이를 맞출 수 있지만,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질병 방역에 오히려 취약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준영 위원장은 방사형 산란계사에 대해 “1천수 미만 소규모 동물복지 농가는 방사형이 제일 많은 것 같다”며 “유럽에는 기준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방사형의 경우 아직 우리나라에는 없지만 다른 나라에는 보급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유럽은 물론 중국에서도 시스템방사형 산란계사가 늘어나고 있다.

직접 중국의 시스템방사형 산란계사를 방문했었던 김준영 위원장은 “외부에 사람이 있고, 계사는 별도로 운영되는 시스템인데, 실제로 봐야 잘 이해가 된다”며 국내에서도 1~2개 정도 견본 산란계사를 만들어 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김준영 위원장 발표자료 발췌
김준영 위원장 발표자료 발췌

김준영 위원장은 동물복지형 산란계사 도입 방향에 대해 ① 무차별 수용이 아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②단계별/점진적 ③규모에 따른 유형별 ④지속 가능한이라는 4가지 원칙을 제안했다.

유럽식 동물복지 산란계사 기준을 무차별적으로 적용하기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하고, 각 농가 규모와 상황에 따른 동물복지형 산란계사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준영 위원장은 또한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동물복지형 산란계사를 도입해야 한다”며 “생산자의 수익성이 보장되고 소비자의 알 권리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2017년 설립된 농어업정책포럼은 280여 명의 전문가·현장활동가가 참여 중인 민간 사단법인이다. 20여 개 분과 중 동물방역복지분과는 김준영 수의사(김준영 동물병원)가 위원장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