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ASF 콜로퀴움] 멧돼지 발생은 악몽‥개체수 줄여야
멧돼지 발생하면 전국 확산 막기 어려워..경기 북부 발생지역에서라도 수렵 늘려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나흘간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국 확산을 막기 위한 멧돼지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은 9월 30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 방안에 대한 콜로퀴움을 개최했다.
이날 발제에 나선 김현일 옵티팜 대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방역은 가능하다”면서도 전제조건으로 ▲야생 멧돼지에 발생하지 않을 것 ▲감염된 돼지가 시중에 유통되지 않을 것을 지목했다.
아직 국내 ASF 발생원인은 안개 속에 있다. 특히 1, 2차 발생농장인 파주시 연다산동과 연천군 백학면 농장은 멧돼지 접근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갖춘 것은 물론 차단방역 수준이 높은 농장으로 평가된다.
김현일 대표는 “지난 7월 양돈수의사회 전문가들이 휴전선 155마일을 직접 확인한 결과 철책 방비는 튼튼했다. DMZ나 파주·연천 발생지역 주변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 멧돼지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면서도 “아직 멧돼지를 발병원인에서 제외하기엔 이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멧돼지에 대한 방역대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현일 대표는 “야생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통제불능 상황에 빠진다”며 “멧돼지에 대한 선제적 조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어느 지역이든 멧돼지가 서식하는 데다가, 감염된 돼지가 살아남으면 300일 넘게 혈중 바이러스가 검출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산간지대를 따라 전국의 멧돼지를 매개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가 돼지농장 주변에 출몰하거나, 감염 멧돼지 사체를 먹거나 접촉한 새나 소형 포유류들이 농장에 접근해 바이러스를 기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
하지만 감염된 멧돼지나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폐사한 사체를 찾아 처리하는데도 한계가 있어 야생환경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을 박멸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결국 농장은 언제든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처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존재가 확인된 경인 북서부 지역에서라도 선제적인 멧돼지 개체수 저감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현일 대표는 “경기 북부에 이미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만큼, 멧돼지로 전염되지 않도록 미리 개체수 조절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렵 과정에서 멧돼지 이동이 활발해지는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벨기에처럼 방역대를 설정해 외부에서 안으로 좁혀가면서 수렵하는 등 방법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환경부가 대대적인 멧돼지 개체수 관리에 나설 지는 미지수다.
한 양돈업계 관계자는 “멧돼지 대책에 대한 환경부의 태도가 너무 미온적”이라며 “중앙대책본부를 설치해 정부 차원에서 (멧돼지 대책을) 실시하거나, 아프리카돼지열병 비상상황 때만이라도 위험지역에 대한 멧돼지 관리를 농식품부가 담당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