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살처분 농가, 올 가을부터 재입식 타진

농장 출입자·차량·야생조수로 농장내 ASF 유입..5개소는 수평 전파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살처분·도태된 양돈농가 261개소에 대한 재입식이 올 가을부터 추진될 전망이다. 그간 ‘멧돼지 ASF가 안정화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해온 방역당국이 재입식 관련 계획을 구체적으로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9일 여름철 ASF 방역강화대책을 추진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검역본부 역학조사 중간결과, 9개 농가에 바이러스 유입·5개 농가는 수평전파

국내 양돈농장에서 최초로 ASF가 발생한 것은 지난해 9월이다. 그해 10월 9일까지 14개 농장에서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사육돼지에서의 발생은 없다.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는 검역본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ASF 바이러스가 지난해 9월초 하천과 야생조수류 등 매개체를 통해 북한 접경지역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14개 발생농장 중 9개는 농장 출입자와 차량, 야생조수류 등 기계적 원인에 의해 바이러스가 농장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5개는 축산차량을 통해 농장간 수평전파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했다.

당국은 “봄철 출산한 멧돼지들이 여름철 활동성이 증가하고, 장마철 하천을 통한 바이러스 오염원 전파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매개체와 사람, 차량 이동이 빈번해지며 농장 내로 ASF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도 증가한다”고 우려했다.

화천, 연천, 파주 등 경기·강원 북부 7개 시군의 멧돼지에서 꾸준히 ASF가 발견되는만큼 안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국는 농장단위 차단방역과 멧돼지 울타리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멧돼지 폐사체 수색 등 오염원 제거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ASF 양성 멧돼지가 발견된 지점 주변 30km까지 폐사체 수색을 확대해 현재 비발생지역인 춘천, 가평 등지를 포함한다.

수색인력을 257명에서 356명까지 확대하는 한편, 울타리 훼손과 출입문 닫힘 상태에 대한 상시유지관리인력도 45명에서 95명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사육돼지 재발 없으면 9월부터 재입식 사전절차 추진

강화된 방역시설 기준 갖춘 농장만 재입식 허용

당국은 살처분 피해농가의 재입식에 대해서도 로드맵을 내놨다. 위험시기인 여름철까지는 ‘재발생 우려가 크다’며 재입식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점을 못박았다.

다만 위험지역 농장의 재입식에 앞서 차단방역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제도 보완을 추진한다. ASF 바이러스 유입 위험이 높은 지역의 양돈농장에는 강화된 방역기반을 요구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외부 울타리와 방조·방충망, 폐사체 보관시설, 내부 울타리, 입·출하대, 방역실, 전실, 물품반입시설 등 외부 차량이나 야생조수류와의 접촉가능성을 줄이는 시설이 포함될 전망이다.

당국은 이를 위한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개정을 6월초부터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여름철이 지나고 사육돼지에서 ASF가 재발하지 않을 경우, 멧돼지 발생상황과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구려해 9월부터 농장 세척, 점검 등 재입식 사전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관련 규정 개정이 완료되면 중점방역관리지구를 지정하고, 강화된 방역시설을 갖춘 농장에 한해 재입식을 허용할 계획이다.

앞서 한돈협회는 11일 청와대 인근에서 집회를 열고 ‘기약없는 재입식이 한돈농가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정부를 규탄했다. 이후 세종 농식품부 청사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며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은 “ASF 전후의 양돈농장 차단방역 수준은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며 “ASF가 재발하지 않도록 방역시설을 신속히 보완하고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