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동물모델 다룬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

실험동물수의사회 제52차 연수교육 개최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KCLAM, 회장 최양규)가 제52차 연수교육을 개최했다. 이날 연수교육에서는 특별히 코로나19 관련 강의가 진행됐다.

홍정주 박사

당초, 연수교육 주제는 ‘소화기질환 관련 동물모델 및 동물실험’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교육이 6월 26일(금)로 연기되며, 특별히 코로나19 관련 특강이 2개 마련됐다.

“코로나19도 전조증상 있었다…결국 해답은 ‘원헬스’에”

첫번째 강의를 맡은 나운성 교수(전남대 수의대)는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성부터 대응 전략, 향후 전망까지 자세히 소개했다.

나운성 교수에 따르면, 이미 수년 전부터 코로나19 펜데믹을 경고하는 다양한 전조증상이 있었다고 한다.

박쥐에 있는 사스(SARS) 유사 코로나바이러스 군집의 인간으로의 전파를 경고한 논문이 이미 2015년에 나왔고(A SARS-like cluster of circulating bat coronaviruses shows potential for human emergence),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동물을 도축하는 시장 등이 꾸준히 문제 되어 왔다는 것이다.

실제 나운성 교수가 동남아 국가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면, 임산부가 가축을 도축하는 시장 바로 근처에 사는 등 신종 감염병이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이 곳곳에 존재하고 있었다.

나운성 교수는 “(감염 동물의) 내부 장기에는 바이러스가 높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곳에서 가축을 도축하는 것은 위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나운성 교수 발표 자료

코로나19 같은 신종바이러스감염병에 대한 대응 방법으로는 ‘원헬스 연구’가 제시했다.

감염병 사례는 아니지만, 가습기살균제 참사 사건에서 ‘수의사와 의사가 함께 참여하는 원헬스적 협력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한 교훈을 얻은 것처럼, 미래 신종감염병 대응도 원헬스 연구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교훈이란, 사람에게서 원인 미상의 폐질환 환자가 생기기 수년 전에 비슷한 증상의 반려동물 환자가 발생했었지만, 원헬스적 협력 시스템이 없어서 사람의 피해를 예방하지 못했던 사건을 말한다.

나운성 교수는 “우리 수의사들은 동물에게 일어나는 작은 사건·사고도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며 “동물을 모니터링하면서 지금까지 알 수 없었던 질병의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험동물 수의사로서 무엇을 해야 하나

두 번째 특강을 맡은 홍정주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는 코로나19 동물모델에 대한 주요 논문들과 국내외 백신·치료제 연구 상황을 소개했다.

특히, 코로나19처럼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보건의료체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에 ‘동물모델의 중요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시간은 촉박한데 인간에게 보이는 증식형태나 병적 증상을 재현하는 정확한 전임상 동물모델이 없다면, 치료제·백신 개발도 그만큼 늦어지고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때 최적의 전임상 동물모델을 만드는 것이 바로 실험동물 수의사의 역할이다.

홍정주 박사는 전임상 동물모델을 만들 때 고려할 사항으로 ▲인간 수용체와의 유사성 ▲병원체 종류 ▲병원체 노출 경로 ▲병원체 노출 용량 ▲병원체 노출 빈도 ▲동물의 demographic background ▲동물의 유전 및 면역적 다양성 ▲시설기반 접근 용이성 등을 꼽았다.

한편, 실험동물수의사회는 오는 8월 말 ‘실험동물시설의 감염’을 주제로 제9차 포럼(53차 연수교육)을 개최할 예정이다.

최양규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장은 “의생명과학과 동물복지 분야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해 공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