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동물 피해 `인정받지 못한 죽음, 드러내지 못한 슬픔`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반려동물 떠나 보낸 보호자들, 정신적 후유증 시달려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나 때문에 죽은 것 같아서요. 내가 그걸(가습기 살균제) 안 썼으면 애들이 이렇게 잘못될 일도 없는데”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보호자들은 자책과 우울감, 슬픔을 공감하지 못하는 사회의 시선에 괴로워하고 있다.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와 한국수의임상포럼이 9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원헬스 심포지엄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입은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남겨진 보호자의 후유증에도 주목했다.

이날 김성호 한국성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장경우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강사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터뷰를 심층 분석한 결과를 소개했다.

원인 모를 죽음에 한 번, 가습기 살균제 이슈에 또 한 번

특조위와 수의임상포럼, 동물권행동 카라 연구진은 지난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 반려동물 사례를 모집하고, 이중 인터뷰에 동의한 8가구 9명의 보호자를 상대로 심층 조사를 진행했다.

강아지 5가구 11마리와 고양이 3가구 16마리를 기르던 피해가정들로, 동물들은 현재 고양이 1마리를 제외하면 모두 사망한 상태다. 피해 가정에서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기간은 최대 4년 8개월에 달했다.

김성호 교수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 반려동물의 보호자 65%가 건강 문제를 겪고 이중 일부는 극심한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지만, 사람환자 피해대책에 밀려 관련 조치는 논의조차 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피해 보호자들이 독특한 형태의 펫로스 증후군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피해 보호자들은 가습기 살균제가 이슈화된 2011년 이전 원인모를 질병으로 반려동물을 떠나보내며 극심한 슬픔과 수의사에 대한 원망 등 다양한 후유증을 겪었다.

가습기 살균제가 이슈화된 이후에는 또다른 형태의 펫로스 증후군이 다시 시작됐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자신의 탓이라는 자책감에 시달렸다. 스스로를 피해자이면서 가해자인 것 같은 양가감정을 느꼈다는 것이다.

아울러 국가나 대기업에 걸었던 신뢰가 무너지면서 분노와 불신에 휩싸였다. 김성호 교수는 “피해 보호자들 중에서는 ‘샴푸조차 안 쓴다’는 언급도 다수였다. 대기업에 대한 실망과 불신이 행위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 반려동물의 보호자들은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슬픔으로 이중고를 겪었다.
(자료 : KBVP 원헬스 심포지엄)

사람 환자 문제도 해결이 안됐는데..외면 받은 상처

사람 가족 피해와 아픔 다르지 않다

반려동물의 피해가 사회로부터 외면받았다는 점도 상처였다. 사람 피해환자 문제도 해결되지 못한 가운데 반려동물의 피해를 언급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였다. 그 울분은 속으로 삭힐 수밖에 없었다.

장경우 강사는 이들의 애도를 ‘인정받지 못한 죽음’과 ‘드러내지 못한 슬픔’으로 정리했다.

반려동물의 죽음으로 펫로스를 경험한 후 가습기 살균제가 이슈화되며 보호자들의 죄책감은 커졌다. 원인 제공자가 나라는 자책감에 새로운 펫로스가 다시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사람환자와는 달리 인정받지 못한 피해자로서 울분과 분노를 경험했다. 이는 이날 소개된 인터뷰의 내용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가습기살균제피해센터) 전화가 왔었어요..(중략)..‘저보다 저희 개가 가습기로 인해 떠난 것 같 같은 이런 거는 어디에 신고해요?’ 그랬더니 웃는 거에요. 아니 지금 사람도 죽어나가는 판에 무슨 강아지 얘기를 하냐. 그런데 ‘저는 진짜 자식 같은 강아지를 떠나보내서 진짜 마음이 아파요’ 그랬더니…”

그럼에도 피해 보호자들은 보상보다 가습기 살균제 문제를 알리는데 무게를 뒀다. 김성호 교수는 “(피해 보호자들은) 사람 피해환자의 해결이 먼저라는 점에 동의하면서 반려동물에서의 피해 증언이 가해자 처벌과 사죄, 배상 등에 도움이 되길 바랐다”고 전했다.

피해 보호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장경우 강사는 이들이 반려동물을 사람 가족과 다르게 보지 않는다는 점이 언어학적으로도 드러났다는 점을 강조했다.

장경우 강사는 “반려동물과 제보자(보호자) 사이의 관계는 일반가족과 다름없이 굉장히 밀접하고 가까운 관계”라며 “가족, 연인의 죽음과 경계지을 수 없다. 사람 피해자의 유족에 대한 분석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성호 교수는 “피해 보호자에게 펫로스에 대한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가습기 살균제 반려동물 피해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조사·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