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멧돼지 포획·개체수 저감 강도 높인다‥㎢당 0.7마리 목표

멧돼지 포획 포상금, 검사비율 높여..ASF 발생·인접지역 4월까지 7대방역시설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가 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ASF 양성 멧돼지 남하가 지속되면서 포획·검사와 개체수 저감 강도를 높인다. 전국 서식밀도 0.7마리/㎢가 목표다.

4월까지 ASF 발생·인접지역 양돈농가에 폐사체보관시설을 제외한 7대방역시설 설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ASF 멧돼지 남쪽으로 장거리 점프

10일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ASF 양성 멧돼지는 약 2,500건이다. 올해 들어 충북 보은·충주, 경북 상주·울진·문경까지 남하하면서 오염지역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중수본은 “경기남부, 충남 등 대규모 양돈단지 지역으로 근접하고 있다”면서 “장거리 전파 양상을 고려하면 비발생지역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전국이 위험권”이라고 지목했다.

지난해 강원 영월까지였던 멧돼지 ASF 확산 범위는 월악산변 단양·제천, 속리산변 보은·상주, 경북 상주 등으로 확산될 때마다 30km 안팎을 점프했다.

4~5월 출산기 이후에는 멧돼지 개체수가 급증하고 폐사체 수색도 더 어려워지면서 확산 우려는 더 커질 전망이다.

멧돼지 ASF 확산 현황 (자료 : 돼지와사람)

멧돼지 서식밀도 0.7/ 목표

포획 멧돼지 ASF 전수 검사

중수본은 최근 3개월 이내에 ASF가 발생했거나 인근에 확산이 우려되는 23개 시군을 집중관리지역으로 설정했다(가평, 양평, 영월, 태백, 삼척, 원주, 홍천, 횡성, 단양, 제천, 보은, 충주, 괴산, 영돈, 청주, 상주, 울진, 문경, 봉화, 영주, 김천, 구미, 예천).

집중관리지역에는 열화상 드론팀, 시군별 30명 이상의 상설포획단과 전문 폐사체 수색반을 집중한다.

4월부터는 포획되는 모든 멧돼지에 ASF 전수검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기존에는 포획 개체들 중 30%만 표본으로 검사했다.

전국 시군에 분기별로 멧돼지 서실밀도를 조사해 서식상황 정보기관도 체계화할 계획이다.

아직 ASF 확산이 확인되지 않은 비발생지역에서도 멧돼지 개체수 저감 강도를 높인다. 전국 서식밀도 0.7마리/㎢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4월부터 비발생지역에서도 농작물 피해신고 없이도 멧돼지를 연중 상시 포획한다.

출산기(3~5월) 성체 포획에는 포상금을 기존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하고, 폐사체 신고포상금도 양성·음성 여부와 상관없이 20만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야생멧돼지 포획·신고 포상금 고시’를 개정할 방침이다.

 

4월까지 ASF 발생·인접지역 양돈농장 7대방역시설 설치

중수본은 4월까지 ASF 발생·인접지역 54개시군 양돈농장 1,256호를 대상으로 7대방역시설 설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7대방역시설은 기존 8대방역시설 중 설치의무가 추가로 유예된 폐사체보관시설을 제외한 시설이다.

중수본은 발생지역 양돈농가의 97%, 인접지역 양돈농가의 80%가 이미 7대시설 설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반면, 아직 ASF 발생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 외 지역의 비율은 21%에 그쳤다.

전국 양돈농장에 대한 방역점검도 실시한다. 농장 내 시설공사 시 방역조치와 모돈사 방역관리 상황, 텃밭을 포함한 경작활동 병행 여부가 집중 점검 대상이다.

그간 국내 사육돼지에서 발생한 ASF 21건 중 17건이 모돈에서 확인됐고 시설공사, 주변 영농활동이 위험요인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멧돼지 포획·신고 포상금을 올리는 등 개체수 서식밀도를 줄이는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박정훈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전국 모든 지역에서 언제든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국 모든 양돈농장은 강화된 방역시설을 조기에 설치해야 한다”고 전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