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기른, 진보적, 중산층이 동물복지 정책에 관심 많다

서울대 인간동물연구네트워크 2천명 설문조사..응답자 절반 ‘동물학대 방지 넘어 삶의 질 높여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스스로의 이념 성향을 진보로 보는, 중산층 이상 계층이 동물복지 정책에 더 관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절반 이상이 동물복지 정책의 목적이 ‘동물학대 방지를 넘어 동물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있다’고 공감했다.

서울대학교 인간동물연구네트워크(사회발전연구소·수의과학연구소)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1년 동물복지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동물 정책, 동물학대 방지 → 삶의 질 개선

초·중등 학생 동물복지 교육 필요 93.5% 압도적

연구진은 지난해 8월 전국 성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동물복지 정책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89개 문항에 걸쳐 동물복지 정책의 목적, 가치, 전망, 중요도, 실천의향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했다.

조사결과에서는 동물학대 방지에만 초점을 맞추던 기존 동물 정책의 무게추를 옮겨야 한다는 인식이 엿보인다.

응답자의 44%는 ‘동물학대 방지 이상으로 동물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것’을 동물복지 정책의 목적으로 꼽았다. ‘모든 동물을 인간과 동등하게 존중하는 것’이라는 응답도 10%에 달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동물복지의 가치가 동물 생명을 존중하고 고통을 줄여주는데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동물이 도덕적 존재로 생명에 대한 본질적 가치를 지니고 있고(36%), 동물이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이므로 고통을 줄여주기 위한 복지 증진이 필요하다(21%)는 것이다.

(자료 : 인간동물연구네트워크)

지난 10년간 동물복지 수준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10명 중 6명이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향후 10년간 동물복지 수준이 더 높아져야 하며, 동물정책이 지금보다 더 중요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도 80%를 넘었다.

특히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한 동물복지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93.5%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미래 세대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동물복지 증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한 셈이다.

반려동물 복지를 위해 시급히 개선할 사항으로는 학대 처벌강화, 보호자교육이 꼽혔다. 농장동물 복지에 대해서는 밀집 사육 감소 등 사육 환경 개선과 관련된 제도 강화가 1위로 선택됐다.

동물보호 목적 경험 행동여부
(자료 : 인간동물연구네트워크)

 

청원·투표 등 직접 참여보단 동물복지 제품 구매 간접 선택에 무게

동물복지 축산물 추가 지불 금액차는 10% 제시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시민 참여는 직접적인 활동보다는 간접적인 선택에 치우쳤다.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질문(복수응답)에 응답자 10명 중 6명이 ‘모피 등 동물학대 상품의 구매를 거부했다’고 답했다.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생산된 제품(45.5%)이나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입(45.1%)하는 등 윤리적 소비 경향도 나타냈다.

반면 동물 관련 청원 서명(29%), 동물복지정책 공약 후보에게 투표(24%), 동물 관련 시위 참여(4%) 등 정치적 활동에 직접 참여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동물복지 축산물은 일반 제품에 비해 가격이 높다. 사육환경, 밀집사육 정도 등을 개선하면서 생산비가 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동물복지 친화적 축산물을 구입하기 위한 추가 지불 금액을 묻는 질문에서는 응답자 3명 중 2명이 10% 이하를 제시했다. 대표적인 동물복지 축산물인 계란에서도 동물복지 축산물의 가격차가 10%를 넘는 만큼 아직까진 괴리가 남아 있는 셈이다.

아울러 동물보호센터, 동물친화적 공원 등 동물복지를 위한 공공시설물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을 보인 응답자는 61%로 다수를 차지했다.

반려동물 양육 경험 유무에 따른 동물정책 관심도
(자료 : 인간동물연구네트워크)

 

반려동물 양육 경험, 진보, 중산층

동물복지는 보편적 정책 가치’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응답자의 반려동물 양육 경험이나 이념 성향, 수득 수준에 따라 편차를 보였다.

특히 반려동물을 키워본 응답자가 동물복지 정책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고, 동물복지 정책의 본질적 가치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려동물 양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63%가 동물정책 관심도를 나타낸데 비해, 비경험자 그룹에서는 25%에 그쳐 큰 차이를 보였다.

선거에서 동물관련 정책이 후보 선택·후원에 중요하다는 응답한 비율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반려동물 양육 경험자의 71.5%가 중요하다고 응답해 평균치(57.4%)를 상회했다.

이념 성향에서는 진보적인 응답자 그룹의 동물복지 관련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진보적 그룹에서 동물복지 정책의 목적을 ‘동물학대 방지 이상으로 동물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2%로 중도(41%), 보수(41%)에 비해 높았다.

진보적 그룹은 중도·보수에 비해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추가 지불 의향, 동물정책의 중요성 전망, 동물복지 수준의 상향 요구 등을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했다.

특히 동물복지 공공시설물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은 진보적 그룹에서 68.7%로 보수(52.3%)와 큰 격차를 보였다.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보였다.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시민참여 활동 경험을 응답한 비율은 월 500만원 이상 소득구간에서 더 높았다.

동물복지 정책에 대한 관심도는 월소득 200만원 미만 그룹에서 31.6%에 그친데 반해 700만원 이상에서는 50%를 넘겼다. 추가 납세 의향도 200만원 미만(46.2%)에 비해 700만원 이상(67.1%)에서 더 컸다.

연구진은 “동물복지 정책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 참여를 원하는 그룹은 반려동물 보호자, 진보적 정치 성향, 중산층 이상이라는 특성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조사에서 동물에 대한 인도적 배려와 동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뚜렷한 시민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동물복지가 보편적 정책 가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물복지 교육과 시민 참여가 늘어나며 동물복지의 정책적 가치가 향상될 것인 만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동물복지 정책의 방향성과 세부지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