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유행성설사병 터지는데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막을 수 있나

한국돼지수의사회 수의정책포럼, ASF 8대방역시설 현장 문제 지적


1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8대방역시설을 두고 멧돼지 비발생지역에서의 시설 의무화가 졸속으로 흐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형식적인 설치보다 출하차와 내부 사람·돼지의 동선 분리 등 핵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역시설이나 출하차 관리 등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일선 돼지수의사가 담당할 수 있다는 제언도 나왔다.

한국돼지수의사회(회장 최종영)는 16일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2023년도 수의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8대방역시설부터 동물약품 불법유통, 관납백신, 3종 가축전염병 관리, 돼지의 도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책과제를 조명했다.

지웅동물병원 최지웅 원장

탈부착식 전실, 겹치는 동선

PED 터지는 농장이 ASF는 막을 수 있나

국내 ASF는 감염 멧돼지로 인해 오염된 주변 환경에서 돼지농장 내부로 바이러스가 유입되면서 발생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유입위험을 줄일 핵심 정책으로 8대방역시설을 활용하고 있다.

이날 발제에 나선 지웅동물병원 최지웅 원장은 ASF 비발생지역의 8대방역시설 문제를 거론했다. 최지웅 원장은 전라도 지역에서 8대방역시설 컨설팅 업무를 담당했다.

최 원장은 농장 현장에서는 바이러스 유입 차단이라는 목표보다는 의무화된 시설을 형식적으로 갖추는데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쓰러지거나 구멍이 생긴 외부울타리가 야생동물 출입을 막을 수 없거나, 돼지가 출입하는 길에 전실을 만들어야 하다 보니 이동식으로 탈부착하는 전실 부스를 만드는 등 웃지 못할 행태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출하·분뇨차량이 주요 관리대상으로 꼽힌다. 최 원장은 “출하·분뇨를 통제하지 않는다면 방역시설을 하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출하대나 분뇨반출시설이 농장 바깥쪽에 있어 차량이 아예 내부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면 가장 좋지만, 이러한 농장(1형)은 일부에 그친다. 대부분 출하·분뇨차가 농장 내부로 진입해야 하는 2형 농장이다.

이들 차량이 오가는 동선과 농장 내부에서 돼지·사람이 이동하는 동선이 겹치면 문제가 된다. 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내부울타리를 철저히 설치하거나 출하대 위치·경로를 변경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를 위해 많은 돈을 들여 농장 구조를 뜯어고치기 보다는 ‘(차단방역 효과가 있든 없든) 일단 설치하자’는 식으로 흐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지웅 원장은 “지난해 제가 컨설팅한 농장 중 6곳에서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발생했고, 그 중 4곳이 출하돈사에서 시작됐다”고 지적했다. PED 바이러스가 유입되는데 ASF 바이러스라고 들어오지 않을 리 없다.

 

시설 만들었다고 끝이 아니다

농장 시설, 출하차 등 세부 모니터링해야

인력 부족하다면 현장 돼지수의사 역할 줘야

최지웅 원장은 “8대방역시설만 만들었다고 끝이 아니다.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가 중요하다”며 8대방역시설이 현장에서 잘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장별로 내외부의 동선 분리가 어려운 구조라면, 가장 중요한 출하차량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도 지목했다.

출하차량이 도축장이나 거점소독시설에서 소독을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제대로 효과를 보는지도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차량의 바퀴는 물론 적재함 내부, 운전석 바닥, 출하기사의 장화·신발 등이 제대로 세척·소독됐는지, 소독약이 적절한 농도와 시간으로 도포됐는지,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는지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방역당국이 직접 하기 어렵다면 현장을 다니는 진료수의사와 협력하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지웅 원장은 “일선 돼지수의사가 농장의 혈액검사 모니터링과 8대방역시설 운영, 출하차·출하기사에 대한 정기 모니터링을 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