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축산, 꼭 인증 아니더라도..생산성·복지 함께 높여야

한국형 동물복지 고민하는 한돈업계..인증제 참여 확대 가능성은 ‘글쎄’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12일 한돈협회 안성지부에서 열린 양돈연구포럼은 ‘한국형 동물복지’를 모색했다. 동물보호단체나 정부가 아닌 양돈업계의 시각으로 동물복지 문제를 바라봤다.

전문가들은 동물복지에 대한 요구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동물복지와 농장 생산성을 함께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에 무게를 뒀다.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제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전망을 내놨다. 농장이 생산성을 희생하는 것에 비해 시장에서 그만한 프리미엄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돼지농장은 동물복지를 실천하고 있다”

생산성·동물복지 두 마리 토끼 함께 잡아야

이날 발제에 나선 한국엘랑코동물약품 허재승 수의사는 “동물복지 축산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계속 강화될 것”이라며 “동물복지도 증진하면서 생산성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령 젖소가 이동하는 경로에 고무패드를 깔아주면 미끄러짐도 덜하고 관절염 발생이 준다. 동물복지적으로도 좋지만 유량 생산도 개선된다.

질병에 걸린 돼지를 그대로 두기보다는 각종 약물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동물복지적인 사양관리다. 돼지가 덜 아프게 되면서도 회복시기가 단축되며 생산성도 좋아진다.

허재승 수의사는 “동물복지와 생산성 향상을 함께 이룰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모으고, 이를 한국형 동물복지 사양관리로서 대내외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득흔 돼지와사람 편집국장은 “우리나라 돼지농장은 동물복지를 하고 있다”고 선언했다.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제 기준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돼지를 잘 보살피는 것 자체가 동물복지를 실천하는 일이라는 얘기다.

이득흔 국장은 “동물복지 인증농장이 아니라고 해서 반(反) 동물복지적인 농장인 것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생산성적이 좋은 농장일수록 동물복지를 많이 실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돈사업이 스스로 동물복지 의제를 주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가 동물보호단체의 주장에 치우쳐 규제 중심의 동물복지 증진을 강제하기 전에, 민간이 스스로 계획을 세워 실천하면서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생산성 희생 대비 프리미엄 받기 어려운 동물복지 돼지고기

인증제 확대는 생산 규모 감축 부작용 우려

정부 주도의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제에 대해서는 희망적인 관측보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두드러졌다.

인증농장이 되려면 생산성 측면에서 타격이 불가피한데, 동물복지 돼지고기가 받을 수 있는 프리미엄보다 희생이 더 크다는 것이다.

동물복지 돼지고기로 더 비싸게 팔더라도 삼겹살·목살 등 선호부위에만 국한된다는 점도 문제다. 영국의 동물복지 축산물은 소시지로도 2배가량의 가격을 받는 것과 대비된다.

이날 포럼에서 인용한 영국왕립동물학대방지협회(RSPCA)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영국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24%가 RSPCA 동물복지 인증을 받았다.

반면 국내에서는 돼지에 동물복지 인증제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현재 인증농장은 17개에 그치고 있다. 전체 돼지농장의 0.3%에 불과하다.

이날 토론의 좌장을 맡은 서울대 김유용 교수는 “EU의 동물복지 인증 기준보다 우리나라의 인증 규정이 더 강력하다”고 지적했다. 임신돈 군사의 마리당 사육면적, 사육틀이나 비육돈의 사육면적 기준이 EU보다 우리나라가 더 넓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영국에서 20%대를 기록하고 있는 동물복지 사육 비율도 비판적으로 바라봤다. 동물복지 사육이 늘어날수록 사육 규모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지목하면서다.

김유용 교수는 “1998년 80만두였던 영국의 모돈 규모는 2021년 40만두 규모로 감소했다. 반토막났다. 자급률이 떨어지면서 덴마크·독일·네덜란드의 수입육이 자리잡았다”면서 동물복지 사육이 한돈 자급률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