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세계 최초 수의윤리컨퍼런스

서울대 수의인문사회학 연구실 천명선·주설아·정예찬·최유진


2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오스트리아 비엔나 (사진 : 천명선)

2023 수의윤리컨퍼런스(2023 Veterinary Ethics Conference)가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되었다.

비엔나 수의과대학의 메설리(Messerli) 연구 그룹이 주최한 이번 컨퍼런스는 유럽농업식품윤리학회(European Society for Agriculture and Food Ethics; EurSafe) 회원들이 주축이 됐다.

인간동물관계와 동물의료에서 윤리적인 가치를 탐구하고 윤리적인 수행을 돕기 위해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워크숍이 이어졌다.

3일간 39개의 연구 발표와 별도의 토론형 워크숍 6개가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에는 철학, 수의학, 커뮤니케이션, 사회학, 정치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서울대학교 수의인문사회학 연구실에서는 총 3개 세션에서 ▲한국 수의사들이 접하는 윤리적 딜레마 ▲반려동물 보호자의 안락사 결정 ▲동물원 수의사들의 진료 시 의사결정에 대한 윤리적 측면을 주제로 발표했다.

수의윤리컨퍼런스 개회식 (사진 : 천명선)
수의인문사회학 연구실 발표자들
(사진 : 최유진, 천명선)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특히 저명한 연자들의 기조 강연이 큰 호응을 얻었다.

첫 기조연자로 나선 피터 산되(Peter Sandøe)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수의동〮물과학대학 및 식품자원경제대학) 교수는 동물윤리, 수의윤리, 생명공학 및 식품생산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연구하는 생명윤리학자다.

덴마크 반려동물복지센터의 소장을 맡고 있는 그는 최근 캐나다수의학회지에 수의윤리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피터 산되는 수의윤리학의 세가지 형태인 규범적, 설명적, 성찰적 윤리학(Three forms of veterinary ethics – prescriptive, descriptive and reflective)을 주제로 컨퍼런스의 막을 열었다.

피터 산되는 규범적 윤리학(prescriptive/normative ethics)과 기술 윤리학(descriptive ethics)의 개념을 설명하고 그 차이를 언급하면서, 두 범주의 접근 방식이 방법론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기술윤리학은 사회과학이나 역사학적 연구방법을 따르기 때문에 방법론에 표준이 있다. 반면, 규범윤리학은 무엇이 적절한 철학적 연구방법인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많고, 다양한 학파가 병존하고 있다.

수의윤리는 직업윤리의 한 분야이다. 직업윤리는 그 직업 구성원에게 적용되며, 대다수의 구성원에 의해 공식화된 윤리적 기준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시대의 보편적인 핵심 가치와 규범이 반영된다. 또한 수의윤리에서의 옳고 그름의 방향성은 종사하는 분야(반려동물, 산업동물 등)나 법과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의윤리학에서 직업 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리고 하나의 규범적 이상에 따라 윤리 원칙을 정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것이 성찰적 윤리학(reflective ethics)과 관련된 지점이다.

피터 산되가 말하는 성찰적 윤리학이란 ‘어떤 윤리적 사건을 되돌아보고 문제의 본질을 성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성찰적 윤리학은 경험적인 수의윤리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가치와 규범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직업 내의 딜레마와 논쟁을 모색하여 직업 구성원들과 기타 이해관계자들로 하여금 그 문제를 어떻게 개선하고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한 성찰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  *

두번째 기조강연자인 앤 퀸(Anne Quain)은 <Veterinary Ethics: Navigating Tough Cases (2017)>의 저자다. 현재 시드니 수의과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윤리, 상담과 같은 소프트 스킬에 대해 강의하면서 수의사 대상 멘토링도 지원하고 있다.

퀸 박사는 “Why it’s bad to be good. Field notes from a career in veterinary ethics”를 주제로 자신의 삶의 여정을 통해 경험적으로 체득한 수의사로서의 삶을 돌아봤다. 그 자리에 참석한 이들에게도 자신들의 삶의 궤적을 돌아볼 기회를 주었다.

흥미롭게도 그녀는 고등학교 시절 스피노자 철학에 매료되어 시드니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한 상담가와의 만남에서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작은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주저없이 “동물”이라고 대답하는 자신의 열정을 깨닫고 수의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철학에서 수의학으로 전공을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하지만 철학은 이후에 수의사가 마주하게 되는 윤리적 결정, 그 결정의 정당화 과정, 동물의 역사와 유래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되었다.

수의사의 일터는 매우 소비적이고, 분절되어 있으며, 수의사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늘 도사리는 현장이다. 따라서 수의사는 항상 불확실한 정보를 가지고 결정해야 한다. 그렇기에 윤리적인 성찰의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그 과정은 쉽지 않다.

퀸 박사는 ‘좋은 것이 나쁜 것이 되는’ 이유를 알고 있는 것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수의사가 겪는 스트레스와 고통은 개인이 특별히 겪어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수의사가 보편적으로 마주하고 있는 상황들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물복지를 자신의 주요 관심분야로 소개한 퀸 박사는 수의사들의 사회적 연대와 다양한 사회 구성원의 참여가 더 나은 동물복지 환경(수의사의 실천환경)의 추진력이 될 수 있음을 피력했다.

또한, 개별 수의사-동물-보호자 간의 관계로 논의되어 온 수의학에서의 의사결정과정은 수의정책결정자, 규제, 사회적기대, 다른 수의사들과의 협력 안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소통이 필요하고, 다양한 이들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책개발에 기여하는 일이 중요하다. 퀸 박사는 열정적인 기조강연을 마무리하며 참석자들에게 “Do What is Right, Not What is Easy”라는 과제를 남겼다.

수의윤리컨퍼런스 기조강연
(사진 : 최유진)

*  *

세번째 기조강연을 맡은 하노버 의과대학의 생명윤리학자 자비네 잘록(Sabine Salloch) 교수는 생명윤리학계의 최근 흐름인 ‘디지털 전환 (Digital Turn)’을 수의윤리 측면에서 정리했다.

생명윤리(bioethics)는 생명이 있는 존재를 다루는 인간의 행위에 대한 성찰을 의미한다. 생명의학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이를 둘러싼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다뤄야 할 문제가 복잡하고 다변화된 생명윤리 이슈에 대해 이론적 연구와 함께 경험연구가 중요해졌다. ‘경험적 전환’을 맞았던 생명윤리학은 또다시 새로운 흐름을 대면하고 있다.

생명의학 분야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의 진보가 새로운 흐름을 유도했다. 이른바 생명윤리의 디지털 전환이다.

데이터 사이언스가 생명윤리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 또는 증강현실 데이터나 그 밖의 다른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가 생명윤리 분야에 어떤 새로운 질문을 던질지 주목하게 된다.

임상분야에서 AI가 윤리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것에는 여전히 많은 우려가 있다. 하지만 환자의 선호도 예측 등 보조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측면을 무시하기도 어렵다.

결국, 생명윤리 분야는 다른 분야의 디지털 윤리적 성찰을 받아들이면서 임상의학 분야까지도 적용이 가능한 연구의 틀을 만들어낼 것이다.

특히 수의윤리 분야에서는 다른 학문영역과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화 한 동물과 동물진료에 접근하는 차별화된 방식이 필요하다.

기조강연자는 다양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동물의 자율성(autonomy)을 보장하기 어려운 수의학 분야의 특성상 예측하지 못한 결과에 대한 윤리적인 성찰은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마지막 기조연설 강연자 션 웬즐리(Sean Wensley)는 영국의 동물 의료 자선단체인 PDSA(the People’s Dispensary for Sick Animals)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교육 부문 선임 수의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동물 복지 및 보존 프로젝트에 기여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세계수의사협회 글로벌 동물복지상을 수상한 동물복지 전문가이다.

웬즐리 박사는 이번 강연에서 최근 출간한 저서 <수의사의 눈으로 바라본 동물의 삶(Through A Vet’s Eyes: How to care for animals and treat them better, 2022)>에 담긴 아이디어와 동물복지에서의 수의사의 역할에 대해 소개했다.

수의사는 인간-동물 관계의 최전방에 있다. 그 관계가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특별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동물을 기르고 이용하는 사람들은 동물이 인간에게 지속적으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혹은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의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대중은 동물이 좋은 삶과 인도적인 죽음을 경험하는 것을 전제로 동물 사용이 정당화될 수 있는 윤리적 입장의 실현을 중요하게 여긴다.

수의사라는 직업은 국제적으로 동물복지를 발전시키는 동시에 동물복지와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손실, 항균제 내성 등 다른 시급한 글로벌 과제 사이의 교차점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웬즐리 박사는 동물복지를 강화하고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수의사의 중요한 업무가 동물복지의 평가, 윤리, 제도, 홍보, 교육, 그리고 국제적 협력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수년간 동물복지를 강화하는 데 있어 과학적, 법적, 기업적, 사회적, 수의학적, 그리고 정책적 측면에 있어 긍정적인 발전이 있었다고 봤다.

그 예로 유럽식품안전청의 2023년 동물복지 권고안, 2022년 유엔환경총회에서의 동물복지와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연결성에 관한 결의안 채택, 유럽위원회의 유럽 내 ‘케이지 시대 종식’ 공약과 같은 입법적 약속을 들었다.

수의사의 이후 당면 과제는 동물복지가 보장되는 무역 협정을 체결하여 동물복지 문제를 다른 (개발도상국) 지역으로 넘기는 위험을 줄임으로써 전세계적으로 동물복지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대중의 인식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이 될 것이다.

*   *   *   *

크지 않은 규모의 컨퍼런스지만 전문가들의 진지한 고민과 성찰이 인상 깊었던 2023 수의윤리컨퍼런스는 이후, 유럽과 아시아 지역의 관련 윤리학회를 기약하며 막을 내렸다. 학회 내용과 발표내용은 컨퍼런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대규모 학술 모임은 축산과 식품, 수의 분야 윤리를 다루는 제25회 EurSafe 학회다. 식품, 환경, 동물, 수의 윤리적 관점을 통해 지속가능한 윤리적 식품 소비와 생산에 대한 논의를 주제로 내년 9월 11일부터 14일까지 네덜란드 에더(Ede)에서 열린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