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총 20,408마리 야생동물 구조…그중 7,321마리 방사

환경부, 전국 17개 야생동물구조센터 구조·방사 현황 공개


8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환경부(장관 한화진)가 올 한 해 야생동물 구조·치료·방사 통계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2023년 1년간 전국 17개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부상이나 조난 당한 야생동물 20,408마리(폐사체 포함)를 구조했고, 그중 7,321마리가 치료된 후 자연으로 방사됐다.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에 따라 2006년부터 야생동물구조센터를 운영 중이다. 현재 전국 16개 시도에 총 17개 야생동물센터가 있다(경기 2개소(남부, 북부), 국립공원 1개소, 세종·대구 미설치, 그 외 14개 시도에 각 1개소).

환경부는 “올해 야생동물 구조센터를 통해 구조된 야생동물이 5년 전(2019년) 대비 43.8% 증가했다”며 “매년 구조된 야생동물 중 35% 정도가 치료를 통해 다시 자연으로 방사되는데, 이 중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과 Ⅱ급도 매년 300~400마리가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1,192마리의 멸종위기종이 구조되어 그중 356마리(29.9%)가 방사됐다.

자료 : 환경부

지역별로는 경기(3,252마리, 15.9%), 충남(2,469마리, 12.1%), 서울(1,791, 8.8%) 순으로 구조 개체수가 많았다.

종별로는 모든 센터에서 조류가 75.4%(15,915마리)로 가장 많았다. 환경부는 이에 대해 “미아, 투명창·방음벽 등에 충돌,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등의 사유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조류가 번식하는 시기에 어미를 잃은 새끼 새가 둥지 인근에서 많이 발견되며, 우리나라에서만 하루에 약 2만 마리의 새가 투명 유리창과 방음벽에 충돌해 폐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부는 ‘야생생물법’을 개정해 국가기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 예방을 위한 인공구조물을 설치·관리하도록 하기도 했다.

포유류·파충류 등 타 분류군을 포함했을 때도 미아, 충돌, 교통사고, 감염 순으로 원인이 나타났는데, 교통사고의 경우 포유류가 대다수인 것으로 집계됐다.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야생동물 구조센터 설치·운영을 계속 확대 지원하여 더 많은 야생동물이 구조, 치료되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도 개선하겠다”며 “부상이나 조난당한 야생동물을 발견하면 해당 시도 야생동물 구조센터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