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전용묘지 인기` 중국 반려동물 장례산업 주목해야

1년에 1000만 마리 이상 반려동물 사체 처리..시장 성장 가능성 높아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최근 “중국의 반려동물 장례산업에 주목해야 한다”며 중국 반려동물 장례업 시장동향을 발표했다.

KOTRA는 “중국의 반려동물 수는 2003년부터 2013년사이 900%넘게 증가해 1억 5천만 마리를 넘어섰고, 반려동물 업계 판매액은 연 15조원(900억 위안)을 돌파했다”며 “반려동물 장묘업의 경우 2000년대 초반까지 주로 사후 화장을 했으나 최근 장례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비싼 가격에도 장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10년 내 베이징 창핑(昌平), 따싱(大兴) 등 교외지역에 반려동물 전용 묘지가 형성됐으며, 베이징의 한 전용묘지는 3000개의 묘지가 마련됐는데 이미 반 이상의 자리가 찼다”고 덧붙였다. 이 반려동물 전용묘지에는 1년에 3~4백 마리의 반려견, 반려묘, 열대어, 거북이 등이 안치되고 있다.

중국은 2008년 1월부터 <중화인민공화국동물방역법>이 실시되면서, 죽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함부로 처리하지 못하고, 관련 사항 위반시 법적 조치를 받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 등록제도 시행되고 있으나, 넓은 영토와 인식 부족으로 체계가 완전히 갖춰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실제 반려동물 수는 1억 5천만마리를 훨씬 뛰어 넘을 것으로 추정되며, 반려동물 장묘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에서 1년에 처리해야 하는 반려동물 사체가 1000만 마리 이상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 역시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해외 반려동물 사체 처리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중국반려동물장묘업1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9개의 동물장묘업체가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등록되어 있고, 이 중 7개가 운영되고 있다.

1년에 약 10~20만 마리의 반려견의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업체당 하루 평균 3~10건 정도의 장례를 진행한다. 평균 장례 비용은 30~50만원 수준이다(생사의례문화연구소, 2008년).

우리나라는 <폐기물관리법>상 반려동물 사체를 의료폐기물(동물병원에서 발생한 경우) 또는 생활폐기물(그외의 장소에서 발생한 경우)로 구분하며, 생활폐기물의 경우 일반 쓰레기봉투에 담아 폐기해야 한다(임의 투기/소각, 땅에 묻는 행위 불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프랑스와 같은 공공장묘시설 운영 ▲일본과 같은 반려동물 사체 당 수수료 징수 ▲별도 동물사체소각로 설치/운영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반려동물 사체처리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중국한국반려동물장묘업비교
중국과 한국의 반려동물 장묘 관련 비용 분석(평균 가격이 아닌 회사 몇 곳을 비교한 자료, KOTRA)

KOTRA는 한국과 중국의 반려동물 장묘업을 비교하며 “중국의 경우 주로 묘지 안치를 하는데 반해, 한국은 주로 납골당 안치가 이뤄지고, 중국의 반려동물 장례용품 가격이 더 비싼 편임에도 수요는 오히려 더 크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중국의 반려동물 장묘업은 아직 미성숙한 단계로, 시장 확대 가능성이 크며, 중국의 빈부격차를 고려했을 때 대도시 위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다.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도 무한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한국과 중국의 장례문화 차이가 존재하며 중국인들은 묘지 안치를 추구하지만, 최근 중국 정부에서 사람 또한 납골당 안치를 권유하고 있는 바, 반려동물 장묘에서도 한국의 반려동물 장례 절차를 중국에 반영하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