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산업 육성 `모래성 쌓기`‥사육두수부터 오락가락

사육두수, 생산농가수 등 기초 데이터 부실..’인구주택총조사 반영 등 정부 대책 필요해’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산업이란 튼튼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반려동물은 마릿수부터 천차만별이다”

1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최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나온 김종복 펫사료협회장의 지적이다.

이날 토론회에 모인 업계 관계자들은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육성을 논하기 전에 기초 데이터부터 확보해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지인배 실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지인배 실장


국내 반려동물 마릿수, 100만입니까 700만입니까

국내 반려동물 사육두수를 가늠하는 대표적인 기준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다.

가장 최근 실시된 2015년 조사는 지역·성별·연렬을 할당한 전국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반려동물 사육가구 비율은 21.8%를 기록했다. 개는 19.1%, 고양이는 5.2%, 모두 기르는 가구는 2.5%였다.

이날 발제에 나선 지인배 농경연 축산실장은 해당 조사결과를 인용하면서 “2015년 기준 국내 사육 중인 반려동물은 약 702만마리(개 513만, 고양이 189만)”라고 밝혔다.

위 조사에 가구당 개 사육두수(1.28)와 고양이 사육두수(1.74), 국내 총 가구수를 반영한 수치다.

반면 100만마리대라고 추정한 조사발표도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지난해 5월 발표한 2015년도 동물등록현황에서 전국 동물등록 대상 마릿수(3개월령 이상의 반려견)는 177만8천여두에 그친다.

정부의 등록대상동물 수치가 정확하지 않다는 건 본지가 수차례 지적한 바 있지만(2015년 5월 12일자 `정부의 ‘동물등록률 55.1% 돌파’ 발표, 사실일까?` 참고-보러가기), 같은 정부기관이 발표하는 수치라고 보기엔 차이가 너무 크다.

더 큰 추정치도 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이달 발표한 ‘2017 반려동물 양육 실태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운다는 응답자가 30.8%에 달했다.

김종복 펫사료협회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육두수부터 조사마다 들쭉날쭉”이라며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현주소를 반증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국펫사료협회 김종복 회장
한국펫사료협회 김종복 회장


반려동물 생산농가 전수조사 700개? “2~3천개가 맞다”

반려동물 생산농장에 대한 데이터도 안개에 휩싸여 있다. 

정부가 지난해 6월부터 9월까지 실시한 동물생산업 전수조사 결과 전국 708개 농장이 확인됐다(신고 236개소, 미신고 472개소). 동물보호단체 등이 추정한 2~3천여개소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이날 토론회 참가자들은 실제 농장수는 2~3천여개소 쪽에 더 가까울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자체 담당인력 부족과 농가의 기피현상으로 실제보다 적은 조사결과가 도출됐다는 얘기다.

조시종 한국반려동물생산자협회장은 “당국에 파악되면 영업을 못하게 될까봐 불안에 떠는 농가로서는 조사를 기피할 수 밖에 없다”며 “개인적으로는 전국에 2~3천농가가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려동물 공급경로에 대한 시각도 엇갈린다.

지인배 실장은 매년 경매장과 동물판매업소를 통해 공급되는 반려동물을 약 30만두로 추산했다. ‘친구나 친지를 통해 분양받는다’는 응답이 51%를 기록한 2013년도 한국소비자원 조사를 바탕으로, 매년 소비자에게 다다르는 반려동물 두수를 61만두로 내다봤다.

하지만 지인 분양의 비중을 너무 과도하게 평가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경매장을 거치는 반려동물 공급이 전체 7, 80%를 차지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정부 차원에서 기초 데이터 확립해야..인구주택총조사 항목화 절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반려동물 관련산업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는데 반해, 기초공사인 데이터 확보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최강필 농협중앙회 팀장은 “최근 몇 년간 관련 자료를 수집하다 보니 오래된 기초자료를 반복 활용하는 실정이었다”며 “연관 산업이 발전하려면 기초 자료부터 정확히 수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반려동물 관련 조사항목을 인구주택총조사에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반복되고 있다.

표본설문조사가 반복되면 오차가 불가피할 수 밖에 없으니, 5년마다 시행되는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반려동물 사육여부와 사육두수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주택 사육 반려동물의 숫자가 확실히 파악되면, 베일에 쌓여 있는 반려동물 생산농가, 육견농가의 사육두수도 추산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사료소비량으로 추산한 전체 사육두수에서 반려동물 사육마릿수를 제외하면 되기 때문이다.

패널토론의 좌장을 맡은 노경상 한국축산경제연구원 이사장은 “정부가 나서 사육두수 등 반려동물 관련 기초자료를 확실히 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