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실습후기 공모전 2025
처음 맡아본 수의학의 냄새
2025 실습후기 공모전 [특별상] 전북대 김경진 ‘수의사는 하나의 종만 다룰 수는 없다’는 교수님 말씀을 인상깊게 듣고, 학창시절 목표는 ‘최대한 많은...
23
국립생태원, 인공지능으로 야생동물 분석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이창석)이 인공지능 전문기업 스피어에이엑스(스피어AX, 대표이사 박윤하)와 협업해 야생동물 자동 종동정 에코에이아이(Eco.AI)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Eco.AI는 인공지능(AI) 기술을...
1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지난해 3,552마리 구조..방사율은?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위험에 처한 야생동물 3,552마리를 구조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3,034건 구조 대비 17%(518건) 증가한 수치다. 경기도 야생동물센터는 2023년에...
1
화천, 양구, 철원까지…강원대 수의대 야생동물 현장실습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이 지난 10일(월)과 12일(수)에 야생동물 질병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대학원 사업의 일환으로 현장실습을 진행했다. 이번 현장실습은 야생동물질병학 안상진 교수의...
17
‘한라산 영산대재’날 자연으로 돌아간 멸종위기종 새호리기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센터장 윤영민)가 구조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새호리기를 19일(토)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냈다. 새호리기 방생은 오영훈 제주도지사, 김한규 국회의원, 김광수 제주교육감, 이상봉 제주도의회...
7
“천산갑, 호랑이, 코뿔새 같은 밀수된 희귀동물도 구조해요”
국내에서는 2024년 5월 19일부터 시행된 개정 야생생물법에 따라 야생동물 수입검역 제도가 시행 중입니다. 해외로부터 야생동물을 통해 질병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18
야생동물 검역 제도화 3개월..도마뱀·거북 2만7천마리 검역
야생동물 수입검역 제도가 시행된지 3개월여만에 도마뱀, 거북 등 2만7천여마리가 검역을 거쳤다. 야생동물 검역관 9명으로 거둔 성과다. 환경부 산하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과 대한수의사회는...
9
야생동물 질병 전문인력 특성화대학원, 3년 더 이어진다
야생동물 질병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환경부가 지원하는 특성화대학원을 중심으로 야생동물 질병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한편 관련...
5
야생동물 질병 전문인력 양성 워크숍 8월 개최…선착순 100명 모집
2024 야생동물 질병 전문인력 양성 워크숍이 8월 13~14일(화~수) 양일간 전북 전주에서 열린다. 매년 개최되는 야생동물 인력양성 워크숍은 관심 있는 수의대생을...
4
2024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인력 양성교육 참가자 모집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2024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인력 양성교육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생물·동물·산림·수의학과 등 야생동물 계열 전공 대학·대학원생과 야생생물 조사에...
0
구조된 야생동물, 어미를 잃은 미아가 가장 많았다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야생동물 3,034마리를 구조해 그중 1,005마리가 건강을 회복해 자연으로 돌아갔다고 12일 밝혔다. 구조된 3천여마리 중 적극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2
강원대 수의대 안상진 박사,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상 수상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안상진 박사(강원대 야생동물구조센터 책임수의사)가 29일(금)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제16회 대한민국 환경봉사대상(전국대회)에서 최우수상(국회 보건복지위원장상)을 받았다. 이번 시상식은 내외환경뉴스, 내외매일신문,...
20
올해 총 20,408마리 야생동물 구조…그중 7,321마리 방사
환경부(장관 한화진)가 올 한 해 야생동물 구조·치료·방사 통계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2023년 1년간 전국 17개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부상이나 조난 당한 야생동물...
8
경북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개원 이래 야생동물 최다 구조
경북산림자원개발원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2006년 개원 이후 올해 가장 많은 야생동물을 구조했다고 18일 밝혔다. 경북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는 안동시에 위치한 산림자원개발원 내에 있는 야생동물...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