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하천 수계 타고 ASF 확산 가능성? 장마철 감시 강화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장마로 인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한 하천 수계 감시를 강화한다고 20일 밝혔다. 방역당국이 지난달 30일 발간한 아프리카돼지열병...
2022.06.20
0
ASF 백신 개발과 국내외 현황은? 케어사이드 LDB세미나, 7월 8일 개최
최근 베트남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백신을 개발했다고 밝힌 가운데, 국내 기업의 백신 개발 현황이 공유된다. (주)케어사이드(대표 유영국)가 7월 8일(금)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백신 개발과...
2022.06.16
0
3년여만에 나온 사육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역학조사보고서
사육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원인을 분석한 역학조사분석보고서가 5월 30일자로 공개됐다. 이번 보고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사육돼지에서 발생한 ASF 21건의 역학조사 결과를...
2022.06.15
0
홍천 돼지농장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사육돼지 22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가 26일 강원 홍천 사육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홍천군 화촌면에 위치한 발생농장은 1,500두 규모로 사육 중이던 돼지에 폐사가 발생해...
2022.05.28
0
멧돼지 ASF 누적 2,577건‥전국 어디로든 전파될 수 있다
5월 1일 기준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양성 멧돼지가 누적 2,577건을 기록했다. 당국은 멧돼지 폐사체 신고를 적극 접수하는 한편 장거리 확산 원인으로...
2022.05.06
0
돼지수의사회 `ASF 살처분 범위·이동제한 기간 낮춰야`
한국돼지수의사회(회장 고상억)가 정부가 준비 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실시요령 제정안에 대해 수정의견을 제시했다. ASF 바이러스 특성과 국제 기준 등을 바탕으로 살처분 범위,...
2022.04.28
0
ASF 멧돼지용 미끼백신 개발 빨라야 2024년
서울대 야생동물 특성화대학원과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하 질병관리원)은 22일 온라인으로 ASF·AI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세션에서는 국내 멧돼지 ASF 확산 현황과 백신 개발...
2022.04.25
0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실시요령 만든다‥눈길 끄는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실시요령 제정을 추진한다. 국내에서 ASF가 발생한지 만 2년이 넘어서다. 구제역, 고병원성 AI 등 다른 악성 가축전염병은 농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2022.04.21
0
ASF·고병원성 AI 정책포럼 22일 열린다‥백신 동향 공유
서울대 수의대 야생동물특성화대학원이 오는 22일 ASF·AI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과 함께 여는 이번 포럼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고병원성 AI의 발생 현황과 백신...
2022.04.21
0
전국 17개 가축방역기관 ASF 정밀진단능력 이상 無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가 전국 17개 시·도 가축방역기관을 대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정밀검사법에 대한 2022년 상반기 정도관리를 실시했다. ‘정도관리’는 시험기관의 정밀진단 정확성과...
2022.04.14
0
ASF 멧돼지 포획·개체수 저감 강도 높인다‥㎢당 0.7마리 목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가 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ASF 양성 멧돼지 남하가 지속되면서 포획·검사와 개체수 저감 강도를 높인다. 전국...
2022.04.11
0
아프리카돼지열병, 조기 색출·부분살처분으로도 막을 수 있다?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8대방역시설 의무화를 비롯한 농장 방역조치도 강화되고 있다. 농장에서의 ASF 발생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큰 투자를...
2022.03.28
0
경북동물위생시험소, 아프리카돼지열병 정밀진단기관 지정
경북동물위생시험소가 8일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정밀진단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북동물위생시험소가 보유한 생물안전3등급(BL3) 시설에서 ASF 의심축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2022.03.10
0
경북 진출한 아프리카돼지열병‥양돈농장 방역시설 의무화 협의 중
경북까지 확산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두고 방역당국이 전북·경남으로의 추가 확산을 우려했다. 한돈협회가 총궐기대회로 맞선 8대방역시설 의무화를 두고서는 민관이 협의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2022.02.21
0
단양 이어 제천에서도 ASF 양성 멧돼지‥충북 확산세
충북 단양에 이어 제천에서도 ASF 양성 멧돼지가 발견됐다. 19일 단양에서 ASF가 확인된 지 사흘 만이다. 충북도청은 22일 제천시 송학면에서 원주지방환경청...
2021.11.24
0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